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동주 시선

이동주 시선

  • 이동주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4-05-30 출간
  • |
  • 184페이지
  • |
  • 132 X 188 mm
  • |
  • ISBN 9791130418315
판매가

19,800원

즉시할인가

17,82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8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 책 소개
한국 문단을 휩쓴 모더니즘의 물결 속에서 오롯이 한국인의 정서를 형상화한 시인 이동주. 그의 시는 민족 고유의 한을 바탕으로 견고한 슬픔을 생성한다. 슬픔은 승화되어 미가 되고 그렇게 한국 서정시의 맥이 이어진다.

▣ 출판사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이동주의 문학사적 의의와 평가는 아직 미완의 단계이며 지금도 학자들은 그의 시 세계를 연구 중이다. 생전에 그는 모든 인생의 총체적 의미를 시에다 투영하고 쏟아부었다. 시는 소설이나 여타의 장르에 비해 다소 평면적이며 단편적 서술 형식을 띠지만 이동주의 삶과 문학 세계는 오묘하게 닮아 있다. 그의 시는 울림이 있는 음악성의 도입으로 문자와 잘 어우러진다. 시 속에 흐르는 정한(情恨)과 향토애, 민족애 등의 발현은 개인사적 의미를 민족적인 차원으로 확장해 형상화한 결과다.
또한, 그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미덕을 충실히 따른 시인이다. 만약 당시 유행하는 문예 사조에 휩쓸려 무조건 현대적(modern)인 시 창작을 추구했다면 현재 그에 대한 평가는 사뭇 달라졌을 것이다. 시인은 한국인의 정서를 바탕으로 옛것을 현실에 맞게 재해석해 당대 서구 추수주의 풍토에 물들지 않고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를 미학적으로 승화시켰다.
한편 이동주의 문학 활동은 대개 3기로 나뉜다. 제1기는 등단부터 1958년까지로 비극적 삶이 펼쳐진 시기이고, 제2기는 한과 산조 등의 연작시로 대표되는 시기로 고향 상실감에서 비롯한 한의 정서가 주로 나타난다. 제3기는 1978년 5월 위암 수술을 받고 작고할 때까지 7개월간이다. 혹자는 1기부터 3기까지의 작품 경향을 그야말로 단순한 구분하기에 불과하다고 토로한다. 왜냐하면 이동주의 시 세계는 초기 작품부터 마지막까지 그만의 색채로 일관성 있게 유지해 왔기 때문이다. 명실공히 <강강술래>가 시인의 대표작으로 여겨지지만 등단부터 감칠맛 나는 언어 구사와 여성적 어조 및 운율 속에 퍼지는 한의 미학 등이 훗날 다른 작품에서도 계속 이어진다.

목차

≪혼야≫
黃昏 ·······················3
婚夜 ·······················4
강나루 ······················6
素服 ·······················8
봄 ························9
귀농 ······················11
머슴살이 ····················12
少女 ······················14
月華曲 ·····················15
고독 ······················17
뜰 ·······················18
숲 ·······················19
강강술래 ····················21
幸福 ······················23
祈雨祭 ·····················25
등잔 밑 ·····················27
바다 ······················28
西歸浦 ·····················29
꽃 ·······················30
뒷말 ······················33

≪산조≫
휘파람 ·····················37
산조 ······················38
산조 2 ······················40
旅愁 ······················42
恨 ·······················43
宇宙葉身 ····················44
大興寺 ·····················47
광한루 ·····················49
달아 ······················51
꽃샘 ······················53
北菴 ······················54
꽃·2 ······················56
三等列車 ····················57
오월의 시 ····················59
遺産 ······················60
산 ·······················61

≪산조여록≫
變貌 ······················65
창 ·······················67
피에로 ·····················69
南道唱 ·····················70
詩論 ······················72
자다가 일어나 ··················75
눈물 ······················77
섣달 某日 ····················79
참선 ······················81
歸路 ······················83
손 ·······················85
無題 ······················87
南道 가락 ····················88
微笑 ······················90
月下에 梨花 滿開 ················92
내 視力이 밝아진 ················94
遠景 ······················96
산·1 ······················98
산·2 ·····················100
산·3 ·····················101
春恨 ······················104
旅路 ······················106
午睡 ······················108
素描 ······················109
素描·2 ····················111
春情 ······················113
이 강산에 태어나 ················115
안히리 ·····················117
禁止區域 ····················118
賭博 ······················120
내 새마을 ···················122

신문·잡지 발표작
喪列 ······················127
祈雨祭·2 ···················128
年輪 ·····················130
들국화 ·····················132
木蓮 ······················134
진달래 ·····················136
봄·2 ·····················137
못 ·······················138
새해 ······················139
肖像 ······················141
노을 ······················142
노을·2 ····················143
노을·3 ····················145
沙漠에서 ····················146
마을 ······················148
뮤즈의 초상 ···················150
낙엽 ······················153
下午有恨 ···················155
길 ·······················157
나의 피 ·····················159

해설 ······················161
지은이에 대해 ··················179
엮은이에 대해 ··················184

저자소개

저자 이동주(1920∼1979)는 1920년 2월 28일 전남 해남군 현산면 읍호리에서 이조참판을 지냈던 이재범의 증손자로 이해영과 이현숙 밑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조부가 해남 현산 초등학교를 세웠을 만큼 사대부의 위세가 당당한 가문이었으나 선친 대에 이르러 집안 형편이 어려워졌다.
열세 살 되던 때 외가 쪽 충남 공주로 가서 보통학교를 마친 이동주는 상경해 고향 친구들과 함께 자취하며 한국외국어학교를 다녔다. 어머니로부터 문학적 소양을 얻고 아버지로부터는 방랑벽을 이어받아 평생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팔도를 떠도는 방랑객이자 타고난 낙천가였는데 스무 살 되던 해인 1940년에는 조지훈의 시 <승무>를 읽고 그와 그의 시에 심취해 혜화전문학교 불교학과에 입학했으나 곧 중퇴하고 만다.
혜화전문학교 재학 시절 ≪조광≫에 작품을 이따금 발표하다 해방 이듬해에 4인의 시집 ≪네 동무≫를 목포에서 간행했다. 이때 노산 이은상이 광주에서 창간한 호남신문 목포 주재 기자와 문화부 차장을 지냈다. 1948년 상경한 이동주는 신사조사(新思潮社)에서 근무하면서 조연현의 소개로 김영랑과 서정주를 처음 상면하게 된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미당 서정주가 1950년 ≪문예(文藝)≫에 시 <황혼>, <새댁>, <혼야> 등의 작품을 추천하기에 이른다. 이로써 이동주의 이름 앞에 ‘시인’이라는 수식어가 붙게 된다.
1979년 61세에 위암 선고를 받고 마지막 7개월 동안에 무려 27편의 작품을 썼다. 죽음 앞에서도 구체적인 삶과 죽음을 의식하면서 이만큼 작품을 남긴 예가 드물 것이라고 한다. 시 창작의 조건이 지극히 불리했음에도 그러한 조건 때문에 오히려 더 많은 작품을 남긴 사람, 치열한 창작 정신이 무엇에 근거했든 ‘시야말로 남길 값어치가 있는 것’이라는 믿음으로 사망 직전까지 작품을 썼다. 그가 남기고 간 저작물로는 시집 ≪혼야(婚夜)≫(1951)와 ≪강강술래≫(1959), 시선집 ≪산조(散調)≫(1979)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유고 시집 ≪산조여록(散調余錄)≫과 시선집 ≪이동주 시집≫(1987), 수필집 ≪그 두려운 영원에서≫ 등 100여 편의 수필과 ≪문인 실명 소설집≫ 등 50여 편의 소설을 남겼다. 특히 실명 소설(實名小說) 형식은 이동주가 처음 시도했기 때문에 큰 호응을 얻었다.
이동주는 1979년 1월 28일 서울 은평구 역촌동에서 눈을 감았으며 그의 만년유택은 경기도 양주 신세계공원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도서소개

한국 문단을 휩쓴 모더니즘의 물결 속에서 오롯이 한국인의 정서를 형상화한 시인 이동주. 그의 시는 민족 고유의 한을 바탕으로 견고한 슬픔을 생성한다. 슬픔은 승화되어 미가 되고 그렇게 한국 서정시의 맥이 이어진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