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정공채 시선

정공채 시선

  • 정공채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2-08-30 출간
  • |
  • 194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6803156
판매가

19,800원

즉시할인가

17,82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8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 근현대시선’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정공채 시인은 감각적 빛의 무늬와 낭만적 바다의 자유를 노래하던 시인이다.
그의 시는 빛과 어둠이 주조하는 세계에 대한 교감을 핵심적 정서로 드러낸다. 여러 색채가 교차하고 대비되면서 그 빛깔의 의미가 현현할 때 시인은 그 표정을 포착해 시화한다. 시인은 끊임없이 빛이 수놓은 색감의 의미를 질문하며, 그때의 이미지를 어떻게 시로 형상화할 것인가를 고민한다. 그 연장선상에서 바다의 광대무변한 형상이 시적 자유의 표상으로 인식되며, 그 표상 속에서 시인의 욕망의 기원을 탐색하고자 시도한다. 그러므로 그는 자유의 시인이며 빛의 시인으로서 바다를 호흡하고자 한 낭만파적 시인이다. 이제 그 빛의 무늬와 바다의 자유를 갈망하던 욕망의 언어를 만난다.
시인은 빛을 중시한다. 그리하여 주로 주변 풍경으로부터 시적 이미지를 집적하는데, 우선적으로 주목하는 것은 색채 대비의 공간이다. 결국 시인은 대상의 빛깔이 환기하는 정서를 시적 주원료로 삼아 시인의 시선에 포착된 세계의 대조적 이미지를 상이한 시어로 형상하고 있는 것이다. 그늘 빛의 노예인 시인은 내면을 울리며 파고드는 종소리를 동경하듯 빛을 동경하지만, 항상 그림자를 함께 거론한다. 그림자와 함께했을 때 비로소 빛과 어둠을 내포한 생의 양면성을 똑바로 응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인은 일부러라도 빛의 노예이자 주인으로서 생의 양면적 빛깔을 내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시인은 무엇보다 자유의 시인이다. 시인에게 자유란 개인적 자유이기도 하고, 해방적 자유이기도 하며, 이미지의 자유이기도 하다. 이미지의 자유는 인간의 오감을 일깨우는 냄새로서의 자유로 변주되기도 한다. 자유의 다면적 표정 속에서도 바다는 여전히 시인이 꿈꾸는 자유의 실체적 표상이다. 시인은 망망대해의 장엄한 바다가 하늘과 화합하는 “무변의 자유”의 공간임을 인지한다. 그 바다는 시인의 항로이며 삶의 터전이자 논밭과도 같아서, 겸허의 마음을 잃지 않게끔 유도한다. 바다는 섬과 섬, 단애와 단애, 무수한 조약돌과 모래와 무명의 것들이 어우러져 하늘과 더불어 모든 것이 하나가 되는 시공으로서 경탄의 존재가 되는 것이다. 이래서 바다는 시인에게 대타자이자 자유의 실체로 존재하는 공간이 된다. 그리하여 시인은 바다에서 자유를 감지하고 호흡하고 냄새 맡으며 바다의 부속물이 되고자 한다. 마치 빛의 노예가 되어 주인이 되는 길을 택했듯, 종소리를 들으며 대자연을 호흡했듯, 바다는 자유 그 자체가 된다.
시인은 빛을 갈구하고 바다를 호흡하지만, 그것은 시인의 내적 욕망을 표상하는 다른 이름들에 해당한다. 자유를 지향하는 시인의 욕망은 항아리를 빚는 일과 유사하다. 시인에게 항아리란 무엇인가? 그것은 일차적으로 흙으로 빚어지는 어떤 물건에 해당하겠지만, 거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인의 엉덩이이자 신체 전부이며, 빛으로 빚어지는 부드러운 감각의 종합이자 욕망의 밑동을 송두리째 흔들어 대는 자극의 실체에 해당한다. 그리하여 시인은 항아리를 응시하고 항아리를 빚는 대상을 응시하면서 자신의 욕망을 빚는다. 즉, 항아리를 빚는 욕망을 시로 길어 내서는 자신의 욕망의 표정을 검토하는 것이다. 그것이 욕망을 해소하는 시적 투쟁이 되기 때문이다.
시인의 고별사 두 편은 시인이 자신의 인생을 고독하게 사랑했음을 증언한다. 혼자의 술잔 속에 사랑을 남겨 놓은 채 시인은 이제 가만히 이승의 끈을 놓는다. 그리고 자신의 욕망의 실체인 죽음을 마주한다. 그러므로 이제야 비로소 드러난다. 시인이 자유로운 영혼을 꿈꾸었던 가객이었다는 사실이, 그리고 빛과 바다와 욕망을 남기고 떠날 수밖에 없었던 헛헛한 인생의 소유자였음이.

목차

龍山 거리 1 ····················3
꽃 層層階 ·····················4
週日마다 犯罪 ··················6
病院은 흰색이다 ·················8
꽃은 商船을 몰고 ·················9
詩는 술이다 ···················11
바닷가의 體操 ··················13
鐘이 운다 ····················15
交流하고 있읍니다 ················19
自由와 蜜柑 ···················22
老人의 항아리 ··················23
海店 ······················25
肉身 ······················27
愛煙頌 ·····················30
바다 그림자 ···················32
木船 ······················34
바다 停車場 ···················35
여름 停車場 ···················37
自由 한 켤레 ···················39
바다 모든 하나 ··················40
빛 ·······················43
항아리 ·····················45
簡易驛 ·····················47
山그늘 2 ····················49
雨中의 마음 ···················50
선술집 ·····················52
合唱을 생각합니다 ················54
虛空 ······················56
빛 ·······················58
불빛頌 ·····················59
하늘이여 ····················60
햇살에 기대어 ··················63
歸鄕 2 ······················65
자화상 ·····················67
시간과 감나무 ··················68
겨울 강을 보면서 ·················70
숲 속에서 ····················72
음악 ······················74
땅에 글을 쓰다 ·················76
깊은 강 ·····················78
몸뚱아리 하나 ··················81
그물 깁는 어부 ··················82
꿈 ·······················84
꽃 그림자에 ···················85
群像 ······················86
막차 ······················87
無名草詩 ····················88
貧者의 봄 ····················89
고요한 강 ····················91
碇泊 中 ·····················93
아침여학교 ···················95
無常 속에서 ···················97
樹木頌 ·····················99
外港은 멀리 있고 ················101
告別 ······················103
告別辭 ·····················104
美八軍의 車 ··················105

해설 ······················175
지은이에 대해 ··················189
엮은이에 대해 ··················191

저자소개

저자 정공채(鄭孔菜, 1934∼2008)는 1934년 경남 하동에서 출생했다. 1957년 ≪현대문학≫에 박두진 시인 추천으로 <종이 운다>, <여진>, <하늘과 아들> 등 3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등단한다. 1958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부산일보≫ 기자 생활을 시작한다. 1959년 <석탄>, <자유>, <행동> 등의 시로 제5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한다. 1960년 4·19 최초의 항거시 <하늘이여>를 4월 14일자 ≪국제신문≫ 조간 제1면 사설란에 발표한다. 1960년 ≪학원≫, ≪민족일보≫ 기자를 거쳐 MBC 제1기 PD가 된다. 1963년 MBC라디오 ‘전설 따라 삼천 리’를 제1회 방송부터 3개월간 집필한다. 1963년 장시 <미8군의 차>를 ≪현대문학≫에 전재한 뒤 일본 ≪문학≫ 등의 잡지에 번역되어 반미주의자 혐의를 받고 반공법 위반으로 필화의 고통을 겪는다. 1979년 처녀시집 ≪정공채 시집 있습니까≫를 상재하고, 이 시집으로 제4회 시문학상을 수상한다. 1981년 역사소설 ≪초한지≫ 3부작을 상재하고, 제2시집 ≪해점≫을 상재한다. 이 시집으로 같은 해 제1회 한국문학협회상을 수상한다. 1986년 제3시집 ≪아리랑≫을 상재한다. 1989년 제4시집 ≪사람소리≫를 상재하고, 1990년 제5시집 ≪땅에 글을 쓰다≫를 상재한다. 1998년 제8회 편운문학상 본상을 수상하고, 같은 해 펜클럽 한국 본부 이사를 맡고 한국현대시인협회 회장에 당선된다. 2000년 제6시집 ≪새로운 우수≫를 상재한다. 2008년 경남 하동 금오영당에 잠들다.

도서소개

『정공채 시선』은 감각적 빛의 무늬와 낭만적 바다의 자유를 노래하던 시인 정공채의 작품을 모아 엮은 책이다. 시적 영혼을 끊임없이 어루만지며 항구와 세계의 이미지를 집적하려는 주지주의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온 저자의 ‘바다 그림자’, ‘그물 깁는 어부’, ‘꽃 그림자에’, ‘아침여학교’, ‘시간과 감나무’ 등의 시편들이 수록되어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