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기다림

기다림

  • 이생진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2-01-10 출간
  • |
  • 148페이지
  • |
  • 128 X 208 mm
  • |
  • ISBN 9788964062708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평생 섬을 사랑해 섬을 노래한 성산포 시인 이생진 시인의 육필 시집.
표제시 <기다림>을 비롯한 60편의 시를 시인이 직접 가려 뽑고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습니다.
글씨 한 자 글획 한 획에 시인의 숨결과 영혼이 담겼습니다.

새로운 시의 시대를 연다

‘지식을만드는지식’에서 한국 대표 시인의 육필시집 44종을 출간합니다.
43명 시인의 육필시집과 각각의 표제시를 한 권에 묶은 ≪시인이 시를 쓰다≫입니다.

한국 대표 시인의 육필시집은
시인이 손으로 직접 써서 만든 시집입니다.
시인이 자신의 대표작을 엄선해 만든 시집입니다.
시인과 독자가 시심을 주고받으며 공유하는 시집입니다.

한국 대표 시인의 육필시집은 현재 한국 시단의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 시인들이 자기들의 대표시를 손수 골라 펜으로 한 자 한 자 정성들여 눌러 쓴 시집들입니다. 그 가운데는 이미 작고하셔서 유필이 된 김춘수, 김영태, 정공채, 박명용 시인의 시집도 있습니다.

시인들조차 대부분이 원고를 컴퓨터로 작성하고 있는 현실에서 시인들의 글씨를 통해 시를 보여주려고 하는 것은, 시인들의 영혼이 담긴 글씨에서 시를 쓰는 과정에서의 시인의 고뇌, 땀과 노력을 더 또렷하게 느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한국 대표 시인의 육필시집은 생활에서 점점 멀어져 가고 있는 시를 다시 생활 속으로 끌어들이려는 의도에서 기획된 것입니다. 시는 어렵고 고상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쉽고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것으로 느끼게 함으로써 “시의 시대는 갔다”는 비관론을 떨치고 새로운 ‘시의 시대’를 열고자 합니다.

시인이 직접 골라 손으로 쓴 시

한국 대표 시인의 육필시집은 시인들이 지금까지 쓴 자신의 시 중에서 가장 애착이 가는 시들을 골라 A4용지에 손으로 직접 썼습니다. 말하자면 시인의 시선집입니다. 어떤 시인은 만년필로, 어떤 시인은 볼펜으로, 어떤 시인은 붓으로, 또 어떤 시인은 연필로 썼습니다. 시에 그림을 그려 넣기도 했습니다.

시인들의 글씨는 천차만별입니다. 또박또박한 글씨, 삐뚤빼뚤한 글씨, 기러기가 날아가듯 흘린 글씨, 동글동글한 글씨, 길쭉길쭉한 글씨, 깨알 같은 글씨... 온갖 글씨들이 다 있습니다. 그 글씨에는 멋있고 잘 쓴 글씨, 못나고 보기 싫은 글씨라는 구분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시인들의 혼이고 마음이고 시심이고 일생입니다.

한국 대표 시인의 육필시집은 총 2105편의 시가 수록됩니다. 한 시인 당 50여 편씩의 시를 선정했습니다. 시인들은 육필시집을 출간하는 소회를 책머리에 역시 육필로 적었습니다. 육필시집을 마치 자신의 분신처럼 생각하는 시인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습니다.

한국 대표 시인의 육필시집은 시인이 쓴 육필을 최대한 살린다는 것을 디자인 콘셉트로 삼았습니다. 시인의 육필 이외에 그 어떤 장식도 없습니다. 틀리게 쓴 글씨를 고친 흔적도 그대로 두었습니다. 간혹 알아보기 힘든 글씨들이 있는데, 독자들이 이를 찾아볼 수 있도록 맞은 편 페이지에 활자를 함께 넣어주었습니다.

■ 시인의 말

나의 시를 연필로 다시 쓴다. 붓만 가지고 몇 백 년 써오던 글을 불과 70년 사이에 붓에서 연필로 연필에서 볼펜으로, 그러다가 워드, 이제 컴퓨터 없이는 시를 쓰지 못한다. 그렇게 변해버린 세월인데 그 속에서 나의 시는 얼마나 변했을까 하는 호기심이 나를 자극한다. 지팡이를 짚고 옛집을 찾아가듯 연필로 더듬더듬 찾아가는 나의 시혼(詩魂), 얼마나 외로운 데서 혼자 살고 있을까. 빨리 만나고 싶다.

목차

머리말 7

수많은 태양 8
낮에서 밤으로 10
설교하는 바다 12
절망 14
생사(生死) 16
술에 취한 바다 18
섬 묘지 20
고독한 무덤 22
고독 24
낮잠 26
무명도 28
끊을 수 없다 30
수평선 32
바다의 오후 34
바다에서 돌아오면 36
시가 안 된다 38
미쳐야 한다 40
곤충의 죽음 42
위험스럽다 44
씨를 뿌리는 어머니 46
교미가 끝난 후 48
우이도·오염되지 말라 50
우이도·패랭이꽃 52
우이도·삼신 54
말도·혼자 사는 여자 58
무녀도·섬 나그네 62
소리 삼키기 64
시 읽는 소리와 멱따는 소리 66
내 목의 소유권 72
몸으로 때우기 74
낚시꾼과 시인 78
날 따라온다 80
녹산 등대로 가는 길 82
쇠똥이 똥 같지 않다 84
루주와 동백꽃 86
떠나던 날 88
전화와 시 90
무슨 재미로 82
바위가 웃을 때 84
노인의 욕심 86
복사꽃 100
산이 기다린다 102
혜화동에서 만난 천상병 104
소리 106
손톱 108
노란 물탱크 110
고독한 행복 112
아내의 무덤 114
가파도엔 산이 없다 116
민들레의 신분 118
꿈 120
꿈을 찾는 개미 122
벌레 먹은 나뭇잎 124
뚱뚱한 스님 126
감(感) 128
기다림 130
귤 132
낙엽 134
바다에 오는 이유 136
풀 되리라 138

시인 연보 143

저자소개

1929. 2. 21(음력)(호적상 10. 1)/ 충남 서산에서 태어남
1949/ 서산 농림학교(6년) 졸업
1951∼1954/ 군복무
1965∼1969/ 국제대학 영문학과 수학
1969∼1970/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학과 중퇴
1954∼1993/ 중고등학교 교사 생활

시집
1955/ ≪산토끼≫
1956/ ≪녹벽(綠壁)≫
1957/ ≪동굴화(洞窟畵)≫
1958/ ≪이발사(理髮師)≫
1963/ ≪나의 부재(不在)≫
1972/ ≪바다에 오는 이유(理由)≫
1975/ ≪자기(自己)≫
1978/ ≪그리운 바다 성산포(城山浦)≫
1984/ ≪산(山)에 오는 이유(理由)≫
1987/ ≪섬에 오는 이유≫
1987/ ≪시인의 사랑≫
1988/ ≪나를 버리고≫
1990/ ≪내 울음은 노래가 아니다≫
1992/ ≪섬마다 그리움이≫
1994/ ≪불행한 데가 닮았다≫
1994/ ≪서울 북한산≫
1995/ ≪동백꽃 피거든 홍도로 오라≫
1995/ ≪먼 섬에 가고 싶다≫
1997/ ≪일요일에 아름다운 여자≫
1997/ ≪하늘에 있는 섬≫
1998/ ≪거문도≫
1999/ ≪외로운 사람이 등대를 찾는다≫
2000/ ≪그리운 섬 우도에 가면≫
2001/ ≪혼자 사는 어머니≫
2001/ ≪개미와 베짱이≫(곤충시집: ‘내 울음은 노래가 아니다’ 증보판)
2003/ ≪그 사람 내게로 오네≫
2004/ ≪김삿갓, 시인아 바람아≫
2006/ ≪인사동≫
2007/ ≪독도로 가는 길≫
2008/ ≪반 고흐, ‘너도 미쳐라’≫
2009/ ≪서귀포 칠십리길≫
2010/ ≪우이도로 가야지≫
2011/ ≪실미도, 꿩 우는 소리≫

시선집
1999/ ≪시인(詩人)과 갈매기≫
2004/ ≪저 별도 이 섬에 올 거다≫

시화집
1997/ ≪숲속의 사랑≫(시: 이생진/사진: 김영갑)
2002/ ≪제주, 그리고 오름≫(시: 이생진/그림: 임현자)

수필집 및 편저
1962/ ≪아름다운 천재(天才)들≫
1963/ ≪나는 나의 길로 가련다≫
1997/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
2000/ ≪걸어다니는 물고기≫

공동 시집
2003/ ≪영혼까지 독도에 산골하고≫

시화전
1971/ 시화전

동인 활동
1971∼1985/ ‘분수’ 동인(신협, 윤강로, 이봉신, 김준회, 신용대, 이생진) 활동
1986∼2006/ ‘우이시’ 동인(임보, 채희문, 홍해리, 이생진) 활동

시낭송 활동
1995~2000/ 성산포, 아끈다랑쉬오름, 마라도, 안면도, 실미도, 만재도, 우이도 등 섬에서 시낭송
2000~2011/ 인사동에서 시낭송

추천·수상
1969/ ≪현대문학≫으로 등단
1996/ 윤동주 문학상 수상
2001/ ‘그리운 바다 성산포’와의 인연으로 제주도 명예도민이 됨
2002/ 상화(尙火)시인상 수상
2008/ 도봉문학상 수상

도서소개

새로운 시의 시대를 여는「지식을만드는지식 육필시집」시리즈『기다림』. 이 시리즈는 현재 한국 시단의 움직임을 주도하는 한국의 대표적 시인이 자신의 대표시를 엄선한 후 직접 손으로 한 자 한 획 써서 만든 시들로 채워져 있다. 평생 섬을 사랑해 섬을 노래한 성산포 시인 이생진 시인의 육필 시집이다. 표제시 <기다림>을 비롯한 60편의 시를 숨결과 영혼을 담아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