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생태문제에 종교가 답하다

생태문제에 종교가 답하다

  • 종교인 대화 모임 (엮음)
  • |
  • 운주사
  • |
  • 2015-02-27 출간
  • |
  • 502페이지
  • |
  • 152 X 225 X 26 mm /733g
  • |
  • ISBN 9788957464137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0,7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생태문제에 종교가 답하다』

한국 사회의 영향력 있는 주요 종교의 신앙인이자 학자들이 모여 진행하고 있는 종교간 소통을 위한 종교인 모임의 대화 기록이다. 앞서 나온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대화』가 각자 다른 종교를 이해하기 위한 대화의 기록이라면, 이번 책은 우리 인류가 직면한 전 지구적 과제인 환경 및 생태문제 대한 종교적 성찰을 담고 있다. 주제와 관련된 각 종교의 주요 저서와 논문들을 중심으로, 2004년부터 10여 년간 진행되어 온 대화와 토론을 생생하게 정리 기록한 것으로, 주요 종교의 환경 및 생태관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대안들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측면도 살펴볼 수 있다.

1.
이 책은 한국의 대표적인 종교인 개신교, 불교, 원불교, 유교, 천주교에 속한 종교인들이 2004년부터 10여년 동안 진행한, 씨튼연구원 ‘종교인 대화 모임’의 발제문과 토론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 ‘모임’에는 주로 자신의 종교에 충실한 신앙인이면서 학문적 객관성을 갖추고 있는 종교인들이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 자기 종교 중심의 편협함에서 벗어나 서로가 깊은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진정성 있는 대화를 지속할 수 있었고, 이 책은 그 10년의 결과물이다.
현대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환경문제이다. 개발이라는 미명하에 자행되고 있는 환경파괴 문제는 한 지역, 한 국가만의 현상이나 문제에 머물지 않는다. 이미 돌이킬 수 없이 파괴되거나 파괴되고 있는, 혹은 파괴될 예정인 자연환경은 부메랑이 되어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할 정도가 되었다. 그리고 이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은 국가나 기업, 시민단체나 종교 등에 따라 입장이 다를 수 있는데, 이 책은 그중에서도 주요 종교들의 관점과 대안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즉 불교, 유교, 도교, 그리스도교 등 주요 종교의 자연과 생태를 바라보는 관점과 이론적 토대는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들은 어떤 유의미성과 실천성을 가질 수 있는지 등에 대해 토론함으로써, 각 종교의 특성은 물론이고 이들 종교 사이의 차이점도 성찰할 수 있을 것이다.

2.
이 책은 크게 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에서는 현대 생태학 담론 중에서도 대표적인 논문인 클레어 파머의 「환경윤리개관」과 폴 테일러의 「자연 존중의 윤리」를 중심으로 그간의 생태적 담론에 대해 토론했는데, 이를 통해 서구학자들의 메타윤리학적인 접근이 지닌 한계점을 확인하고, 결국 생태문제는 철학적 사변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구체적인 실천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점에서 각 종교전통이 지닌 자연에 대한 규범적 윤리를 강조할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생태학과 불교의 대화를 주제로, 인도불교?남방불교?일본불교의 관점에서 불교와 생태학의 이론적?방법론적인 쟁점들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특히 불교는 연기적 세계관을 지녔기 때문에 가장 생태적이라고 말해 왔으나 단지 거기에만 만족하고 만다면 불교가 과연 생태윤리에 기여할 수 있겠는가, 라는 점에 강한 문제의식도 제기되었다.
제3장에서는 초기 유교로부터 신유학에 이르기까지 유교의 전반적인 사유를 통한 환경윤리에 대해 살펴보고 있는데, 유교의 생태적 관점은 그 논의의 중심에 인간의 책임문제가 있으며, 이를 감응문제와도 연관 지어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제4장에서 다룬 생태학과 도교의 대화는 「도교 생태학: 내면의 변화로 초대」, 「『음부경』의 삼재상도사상」, 「『태평경』의 도교적 중화개념」이라는 세 논문을 중심으로, 특히 도교적 수행을 중심으로 토론하였다.
제5장 ‘생태학과 그리스도교의 대화’에서는 샐리 멕페이그의 『기후변화와 신학의 재구성』과 토마스 베리의 『위대한 과업』을 중심으로 토론하는데, 특히 멕페이그는 생태위기를 극복하려면 신고전주의 경제모델에서 벗어나 생태 경제모델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목차

머리말 _5

제1장 현대 생태학 담론과의 대화
- Environmental Ethics: an anthology와 『휴머니즘의 옹호』를 중심으로
1. 「환경윤리개관」 _19
1) 내용 요약 및 논평 길희성 _19
2) 토론 _25
2. 「자연 존중의 윤리」 _43
1) 내용 요약 및 논평 전해주 _43
2) 토론 _49
3. 『휴머니즘의 옹호』 _65
1) 내용 요약 및 논평 송용민 _65
2) 토론 _71

제2장 생태학과 불교의 대화
- 『불교와 생태학』(Buddhism and Ecology)을 중심으로
1. 남방불교와 생태학의 대화 _105
「현대 태국의 불교생태학에 대한 해석학」, 「태국에서의 녹색사회의 추진과 사원 공동체의 잠재적 공헌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
1) 내용 요약 및 논평 김승혜 _106
2) 토론 _111
2. 인도불교, 일본불교와 생태학의 대화 _132
「본생담에 나타난 동물들과 환경」, 「동물의 해방, 죽음, 그리고 국가」
1) 내용 요약 및 논평 최일범 _133
2) 토론 _139
3. 미국불교와 생태학의 대화 _156
「위대한 대지승가-게리 스나이더의 공동체적 자연관」
1) 내용 요약 및 논평 전현식 _156
2) 토론 _166
4. 불교와 생태학에서의 이론적?방법론적인 쟁점들 1 _177
「불교의 자연철학은 존재하는가」
1) 내용 요약 및 논평 송용민 _177
2) 토론 _185
5. 불교와 생태학에서의 이론적?방법론적인 쟁점들 2 _196
「녹색불교와 자비의 계급」
1) 내용 요약 및 논평 최일범 _196
2) 토론 _202

제3장 생태학과 유교의 대화
- 『유교와 생태학』(Confucianism and Ecology)을 중심으로
1. 「초기 유교와 환경윤리」 _217
1) 내용 요약 및 논평 김승혜 _217
2) 토론 _225
2. 「감응과 책임: 주돈이와 환경윤리를 위한 유교적 자원」 _240
1) 내용 요약 및 논평 최일범 _240
2) 토론 _246
3. 「천지에서 자연으로: 중국의 환경 개념과 정책 설정에 미칠 수 있는 영향」 _254
1) 내용 요약 및 논평 송용민 _254
2) 토론 _263

제4장 생태학과 도교의 대화
- 『도교와 생태학』(Daoism and Ecology)을 중심으로
1. 「 도교 생태학: 내면의 변화로 초대-초기 도교 교단의 계율 연구」 _277
1) 내용 요약 및 논평 양은용 _277
2) 토론 _282
2. 「『음부경』의 삼재상도사상」 _289
1) 내용 요약 및 논평 양은용 _289
2) 토론 _294
3. 「『태평경』의 도교적 중화개념: 자연재앙에대한 인간의 책임」 _305
1) 내용 요약 및 논평 최현민 _305
2) 토론 _315

제5장 생태학과 그리스도교의 대화
『기후변화와 신학의 재구성』
1부 기후변화의 위기에 대한 과학적 증거와 그 신학적 의미 _327
1) 내용 요약 및 논평 최현민 _327
2) 토론 _336
2부 기후변화의 위기 속에서 하느님과 세계에 대한 탐구 _347
1) 내용 요약 및 논평 전현식 _347
2) 토론 _370
3부 기후변화 위기 속에서의 예배와 도시생활 _387
1) 내용 요약 및 논평 최복희 _387
2) 토론 _397
4부 기후변화 위기 속에서의 절망과 희망 _408
1) 내용 요약 및 논평 이정배 _408
2) 토론 _414

『토마스 베리의 위대한 과업』
1부 『토마스 베리의 위대한 과업』 1장-9장 _422
1) 내용 요약 및 논평 미산, 송용민, 심원 _422
2) 토론 _442
2부 『위대한 과업』 10-17장 _466
1) 내용 요약 및 논평 양은용, 전현식, 최복희 _466
2) 토론 _481

저자소개

종교인 대화 모임 참여자들
ㆍ길희성 ─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
ㆍ김승혜 ─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
ㆍ김종욱 ─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ㆍ미산 ─ 중앙승가대학 포교사회학과 교수
ㆍ송용민 ─ 인천 가톨릭대학교 신학과 교수
ㆍ심원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
ㆍ양은용 ─ 원광대학교 불교학과 명예교수
ㆍ이정배 ─ 감리교 신학대학교 교수
ㆍ전현식 ─ 연세대학교 신학과 교수
ㆍ종범 ─ 전 중앙승가대학 총장
ㆍ최근덕 ─ 전 성균관 관장
ㆍ최복희 ─ 세종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
ㆍ최일범 ─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과 교수
ㆍ최현민 ─ 종교대화 씨튼연구원 원장
ㆍ해주 ─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도서소개

이 책은 우리 인류가 직면한 전 지구적 과제인 환경 및 생태문제 대한 종교적 성찰을 담고 있다. 주제와 관련된 각 종교의 주요 저서와 논문들을 중심으로, 2004년부터 10여 년간 진행되어 온 대화와 토론을 생생하게 정리 기록한 것으로, 주요 종교의 환경 및 생태관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대안들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측면도 살펴볼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