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신종교 지형과 문화

한국 신종교 지형과 문화

  • 박광수
  • |
  • 집문당
  • |
  • 2015-02-17 출간
  • |
  • 428페이지
  • |
  • 152 X 225 X 30 mm
  • |
  • ISBN 9788930316705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5,0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책을 발간하며

한국 신종교의 지형과 종교문화연구 서설(박광수)
Ⅰ. 서론
Ⅱ. 한국 신종교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론
Ⅲ. 신종교 연구 현황과 과제
1. 일제강점기(1910~1945)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
2. 일제강점기 한국인 학자들의 선행연구 현황과 분석
3. 해방 이후 남북한 분단 시기(1945~2013) 연구 현황
Ⅳ. 결론-신종교 연구에 대한 제언

한국 신종교에 대한 종교사적 연구와 과제(윤승용)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 신종교의 종교사적 전개
1. 한말 개화기
2. 일제강점기
3. 해방 이후 산업화 이전 시기
4. 산업화?도시화 시기
5. 사회 민주화 이후 시기
Ⅲ. 한국 신종교의 종교사적 의의(意義)
1. 근대 신종교의 종교사적 의의
2. 현대 신종교의 종교사적 의의
Ⅳ. 결론: 신종교에 대한 종교사적 연구와 과제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조사의 의의 및 방법-한국 신종교 교단 및 집단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남춘모?박승길)
Ⅰ. 머리말
Ⅱ. 종교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조사
Ⅲ. 종교연구에서 양적 조사의 의의와 한국 신종교 연구 동향
1. 종교조사와 신종교에 대한 양적 연구의 현황
2.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조사의 의의와 한계
Ⅳ. 종교 교단 및 신자에 대한 양적 조사
1. 종교집단에 대한 관찰조사
2. 종교집단에 대한 설문조사
3. 종교 신자들에 대한 인터뷰
Ⅴ. 맺음말

한국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와 과제(노길명)
Ⅰ. 서론
Ⅱ. 한국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의 성과
Ⅲ. 연구대상으로서의 ‘신종교’ 정의상의 문제
Ⅳ. 한국 신종교 연구에서의 기존 이론의 활용 방안
Ⅴ. 신종교 실태조사방법상의 문제
Ⅵ. 결론

신종교 연구 방향에 대한 종교학적 성찰-‘종교심리학’ 논의를 중심으로-(김재영)
Ⅰ. 머리말
Ⅱ. 맥스 뮐러의 신종교 인식
Ⅲ. 윌리엄 제임스와 신종교
Ⅳ. 그 이후, 개종과 세뇌 논쟁
Ⅴ. 상담치료와 편견
Ⅵ. 다시, ‘종교심리학’으로
Ⅶ. 맺음말

동학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사상의 시대적 변화-동학과 천도교를 중심으로-(박맹수)
Ⅰ. 동학 성립의 종교사상적 배경
Ⅱ. 동학 성립과 그 사상적 특성
Ⅲ. 해월 최시형과 동학농민혁명
Ⅳ. 천도교의 성립과 ‘근대’의 수용

‘유교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갱정유도의 ‘유도시대’(한재훈)
Ⅰ. 서론
Ⅱ. 유교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
1. 유교계 종교운동의 배경
2. 유교계 종교운동의 전개
Ⅲ. 유교계 신종교의 관점에서 본 갱정유도의 좌표
1. 갱정유도에 대한 계통분류
2. 신종교로서 갱정유도의 좌표
Ⅳ. 갱정유도가 염원하는 ‘유도시대’
1. 갱정유도 교리에 나타난 ‘유도’
2. ‘도덕해원’과 ‘도덕문명’의 유도시대
Ⅴ. 결론

한국 근ㆍ현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유형(이병욱)
Ⅰ. 서론
Ⅱ. 불교개혁론의 1단계
1.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 추상적 개념분석에 치중함
2.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구체적 대안으로까지 전개되지 못함
3.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 혁신의 이상적 청사진을 제시함
Ⅲ. 불교개혁론의 2단계: 구체적 개혁안의 제시
1.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2.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
3.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
4.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
Ⅳ. 결론: 구체적 개혁안의 유형 구분

증산계 신종교운동의 역사와 사상적 변천에 대한 조명(이경원?백경언)
Ⅰ. 머리말
Ⅱ. 증산계 신종교 운동의 역사
Ⅲ. 증산계 신종교의 사상적 변천
Ⅳ. 한국 신종교사에 있어서 증산계 신종교운동의 특징
Ⅴ. 맺음말

일제하 기독교 종파의 형성과 유형(이진구?차옥숭)
Ⅰ. 들어가며
Ⅱ. 개신교의 제도화와 반선교사 운동
Ⅲ. 기독교 종파의 출현과 유형
Ⅳ. 나가며

저자소개

현재 원불교 교무이며,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로서 종교문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University of Iowa에서 종교학 석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불교학을 전공한 학자이다. 한국신종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신화, 상징, 의례에 대한 연구를 해왔으며 한국의 종교학을 대표하고 있는 한국종교학회의 부회장을 맡고 있다. 또한 \'종교연구\' 편집위원장, 종교문화연구소 \'종교문화비평\' 편집위원, \'International Buddhist Thought & Culture\' 편집위원, ASEM 종교간대화회의 자문위원(학술분과)으로서 학술교류 및 활성화를 위해 적극 참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The Won Buddhism (Wonbulgyo) of Sot aesan: A Twentieth-Century Religious Movement in Korea\'(San Francisco. London. Bethesda: International Scholars Press, 1997), \'열린종교와 평화공동체\'(서울: 크리스챤 아카데미 편, 2000), \'Collections of Silent Confession and Prayer\'(Wonkwang Publishing Co., Korea, 2002)(번역서), \'Religion in Korea,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Korean Conference on Religion & Peace\'(Pub. By Religious Affairs Offic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Seoul, Korea; printed by Color Point Co., 2003)(공저), \'The Role of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in Promoting World Peace-An Asian Perspective\'(2007, 공저) 등이 있다.

도서소개

『한국 신종교 지형과 문화』는 한국 신종교의 지형과 종교문화에 대한 연구를 위한 서설로서 ‘한국 신종교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라는 문제제기와 함께 한국 신종교에 대한 연구 현황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일제강점기(1910~1945)부터 해방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의 한국 신종교연구 현황에 대한 분석을 위주로 하여 새로운 종교운동과 사상이 시대적 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