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16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2016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 김현택
  • |
  • HUINE
  • |
  • 2016-05-27 출간
  • |
  • 288페이지
  • |
  • 174 X 247 X 20 mm /542g
  • |
  • ISBN 979115901081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4,8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8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까지 러시아는, 아니 더 정확히 말하자면 푸틴 체제는 명백한 위기 상태였다. 비록 그 위기의 서막은 미국이 열었지만, 그 한파는 전 세계를 돌며 러시아에까지 닿았다. 2007년 발생한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뒤이은 2008년 9월 리먼 브러더스 홀딩스(Lehman Brothers Holdings Inc.)의 파산으로 미국발 금융 위기의 여파가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자, 신흥 경제 강국들로 지칭되어 온 이른바 BRICs 국가들도 위기 상황이 뚜렷해졌고 그중에서 특히 러시아는 경제성장률 저하의 직격탄을 맞았다. 배럴당 100달러를 웃돌던 국제유가가 50달러 이하 수준으로 떨어지자 2009년 들어 러시아의 경제성장률은 무려 8% 선까지 급락했다. 그간의 높은 경제 성장이 실은 국제 에너지 가격에 철저하게 연동된 허상에 불과한 것이었음이 드러났다. 국제유가의 하락세는 리비아와 시리아 등 중동 정세의 불안 요인들로 인해 잠시 주춤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경제 위기의 중장기적 전망을 불식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더욱이, 2013년경에는 미국에서 셰일(Shale)혁명이 발발하면서 막대한 물량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까지 유럽 및 아시아 시장으로 유입되자, 러시아로서는 천문학적인 수출 대금의 손실은 물론이고 향후 국제 에너지 시장에서의 지배력 약화라는 이중고에 내몰리지 않을 수 없게 됐다.

목차

머리말 / 3

제1장 러시아, 2015년 회고와 2016년 전망
01. 2015년 러시아 국내 정치, 푸틴 체제의 예외적 ‘현재’와 합당한 ‘미래’ _ 이선우 / 15
02. 위기에 맞선 공세적 대응: 2015년 러시아 대외관계 결산 _ 제성훈 / 20
03. 러시아군, 국익 실현의 선봉에 나서다 _ 김규철 / 26
04. 2015년 러시아 경제, 역성장과 물가 폭등의 이중고에 빠지다 _ 이종문 / 33
05. 2015년 러시아 사회문화, 미래에 눈을 감고, 과거에 길을 묻다 _ 라승도 / 37
06. 한.러 관계, 국교 정상화 25주년 속에 드러난 정체감 _ 현승수 / 45

제2장 러시아 정치와 외교
러시아와 국제관계 / 55
07. 러시아와 미국, 관계 개선은 가능한가? _ 제성훈 / 57
08. 러시아의 시리아 군사 개입: 함의와 전망 _ 김규철 / 61
09. 시리아 사태 개입의 국제정치학, 러시아는 다시 초강대국이 될 수 있을까? _ 윤성학 / 68
러시아와 CIS / 75
10. 율리야 티모셴코, 부활의 날개 펼칠까? _ 정영주 / 77
11. 2015 벨라루스 대선 평가와 향후 전망 _ 심지은 / 85
12. 2015 카자흐스탄 조기 대선, 시행 배경과 향후 전망 _ 김상철 / 89

한반도와 러시아 / 95
13. 유라시아 1만4,400km 질주하는 ‘한국夢’ _ 홍완석 / 97
14. 대러 인식의 ‘프레임’ 전환이 필요한 이유 _ 홍완석 / 100
15. 북한의 4차 핵 실험과 중국, 러시아 요인 _ 최화식 / 103

제3장 러시아 경제와 자원
러시아 경제 / 111
16. IMD와 WEF 세계경쟁력지수를 통해 본 러시아 국가경쟁력 _ 이종문 / 113
17. 러시아의 북극 진출과 북극권 영유권 분쟁 _ 이영형 / 118
18. 국제에너지헌장(IEC) 출범과 러시아의 대응 _ 이성규 / 122
19. 저유가에 맞서는 러시아의 원유 증산 전략 _ 이대식 / 125

한·러 경제협력 / 129
20. 러시아의 AIIB 가입, 한.러 극동 협력의 변곡점으로 이용하자 _ 오영일 / 131
21. 천연가스 분야의 한.러 관계: 도전과 전망 _ A. V. 코부시 / 137
22. 남.북.러 전력망 연계와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의 의미 _ 이주리 / 142
23. 중소기업 중심의 한.러 협력의 필요성과 전망 _ 김상환 / 148

한국과 중앙아시아 / 151
24. 유라시아경제연합(EAEU)과 중앙아시아 _ 황영삼 / 153
25. 유라시아경제연합 안에서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협력 전망 _ 홍 예브게니 / 159

제4장 러시아 사회
26. 교황과 러시아 정교회 총대주교의 하바나 회동, 문명 간 대화의 첫걸음 _ 김현택 / 165
27. 글로벌 ‘지정학적 위기’ 책임 추궁당한 러시아: 제16회 세계지식포럼 참가기 _ 김병호 / 174
28. 국제학술대회에서 한국의 큰 자리를 기대하며: 제9회 ICCEES 세계대회 참관기 _ 차지원 / 177
29.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사범대 국제교육포럼 참관기 _ 한종만 / 183
30. 러시아 귀속 1년여 후,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을 가다 _ 김선래 / 189
31. 푸틴과 역사 교과서, 하나의 단일 교과서는 과연 가능한가? _ 기계형 / 193
32. ‘소련으로의 회귀’는 ‘누구’를 ‘왜’ 놀라게 하는가 _ 신동혁 / 197
33. 러시아와 서방의 관계 개선, 러시아 국민의 생각은? _ 최우익 / 201

제5장 러시아 문화
34. 발렌티나 리시차의 경우: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의 격랑 속에 선 피아니스트 _ 한정숙 / 211
35. 러시아 인민공훈배우 류드밀라 남의 ‘하얀 탱고’ _ 이연성 / 219
36. 아쉬움의 눈물 삼킨 한국 음악가들: 제15회 차이콥스키 콩쿠르 참관기 _ 장일범 / 223
37. 안나 카레니나의 법칙: 세계적 석학에 대한 일개 노문학자의 딴죽걸기 _ 김은희 / 231
38. 여름과 일탈 _ 김은희 / 237
39. 불과 물의 이중주: 러시아 하지 축제 이반 쿠팔라 _ 황성우 / 242
40. 새로운 영화의 발견: ‘키노타브르’ 영화제 참관기 _ 홍상우 / 246
41. 위대한 역사와 논란의 현재: 제37회 모스크바국제영화제를 찾다 _ 홍상우 / 250
42. 또 다른 ‘뉴웨이브’의 가능성을 보다: 제3회 야쿠티야국제영화제 _ 홍상우 / 255
43. 2016년 ‘러시아 영화의 해’: 기대와 우려 _ 라승도 / 259

제6장 러시아 역사
44. 아관파천 120주년, 러시아 활용법 찾아야 _ 홍완석 / 265
45. 러시아 전승기념일,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할까? _ 송준서 / 268
46. 끝나지 않은 캅카스 전쟁, ‘열전’에서 ‘역사기념물 전쟁’으로 _ 신동혁 / 272
47. 돈스코이호와 포로 _ 유해수 / 277
48. 한.소 수교의 막후 주인공,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지다 _ 이상준 / 283

저자소개

한국외대 러시아어과 문학사 졸업, 미국 University of Kansas 러시아문학 석사, 미국 University of Kansas 러시아문학 박사.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 강의 교수, 미국 UC, San Diego Fulbright Research Scholar, 현 한국외대 러시아어과 교수,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외 러시아 문학 및 문화 관련 저서 다수

도서소개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까지 러시아는, 아니 더 정확히 말하자면 푸틴 체제는 명백한 위기 상태였다. 비록 그 위기의 서막은 미국이 열었지만, 그 한파는 전 세계를 돌며 러시아에까지 닿았다. 국제유가의 하락세는 리비아와 시리아 등 중동 정세의 불안 요인들로 인해 잠시 주춤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경제 위기의 중장기적 전망을 불식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더욱이, 2013년경에는 미국에서 셰일(Shale)혁명이 발발하면서 막대한 물량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까지 유럽 및 아시아 시장으로 유입되자, 러시아로서는 천문학적인 수출 대금의 손실은 물론이고 향후 국제 에너지 시장에서의 지배력 약화라는 이중고에 내몰리지 않을 수 없게 됐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