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시 작법의 실제

한시 작법의 실제

  • 성기옥
  • |
  • 지식과감성
  • |
  • 2017-03-31 출간
  • |
  • 518페이지
  • |
  • 188 X 259 X 33 mm /1228g
  • |
  • ISBN 9791159615757
판매가

50,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시漢詩 작법作法의 실제實際』은 한시의 이해와 작법의 지침서(指針書)이다.
한시의 이해와 감상에는 구성용어의 이해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창작에는 용어의 이해뿐만 아니라, 농부가 농기구를 다루듯이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한시漢詩 작법作法의 실제實際』의 목표는 절구, 고체시, 율시 및 다양한 시체(詩體)의 구성형식을 이해하고 생활한시의 창작능력을 갖추는데 있다.

운자(韻字) 압운(押韻) 2/4부동(不同) 고평(孤平)
하삼평/측(下三平/仄) 점대(粘對) 대장(對仗)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
요체(拗體) 구요(求拗) 대운(大韻) 중운(重韻)
팔병(八病) 평두(平?) 상미(上尾) 봉요(蜂腰)
학슬(?膝) 소운(小韻) 방뉴(旁紐) 정뉴(正紐)
측기측수(仄起仄收) 평기평수(平起平收)
고체(古體) 절구(絶句) 율시(律詩) 배율(排律)
통운(通韻) 회문(回文) 부득(賦得) 사(辭) 부(賦)
160여 작품분석을 통한 자세한 해설이 담겨있다.

목차

머리말_12

제1장 / 한시이해와 창작을 위한 필수 용어_17
1. 운자(韻字)와 압운(押韻)_23
ㆍ귀원전거(歸園田居)_23ㆍ춘망(春望)_24
2. 하삼평(下三平), 하삼측(下三仄), 고평(孤平) 금지, 2/4,
2/4/6 부동, 점대(粘對), 대장(對仗)원칙_27
1) 2/4 평/측 부동(不同)_28
2) 고평(孤平) 금지_28
3) 하삼평(下三平), 하삼측(下三仄) 금지_29
4) 점대(粘對) 원칙_29
5) 대장(對仗)_30
6) 평/측 구분방법_31

제2장 / 한시의 종류에 따른 작법_33
1. 고체절구_34
ㆍ정야사(靜夜思)_35ㆍ칠보시(七步詩)_35
ㆍ사시(四時)_37ㆍ강설(江雪)_37
ㆍ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_38ㆍ죽리관(竹里館)_39
ㆍ춘효(春曉)_40ㆍ정야사(靜夜思)_41
ㆍ호지화초(胡地花草)_42ㆍ모강음(暮江吟)_42
ㆍ어사출두시(御史出頭詩)_43
ㆍ백두산석마도진(白頭山石磨刀盡)_44
ㆍ산중문답(山中問答)_45
ㆍ산중여유인대작(山中與幽人對酌)_46
ㆍ실제(失題)_47ㆍ시시비비(是是非非)_48
ㆍ가련기(可憐妓)_48ㆍ이별(離別)_49
ㆍ전(錢)_50ㆍ설중한매(雪中寒梅)_51
ㆍ설경(雪景)_52ㆍ송병(松餠)_52ㆍ백구(白鷗)_53
ㆍ묘향산(妙香山)_54ㆍ구월산봉(九月山峰)_55
ㆍ상경(賞景)_56ㆍ환갑연(還甲宴)_57
ㆍ난피화(難避花)_58ㆍ암야방홍련(暗夜訪紅蓮)_58
ㆍ허언시(虛言詩)_59
2. 근체절구 창작방법_60
ㆍ등관작루(登?雀樓)_61ㆍ相思(상사)_61
ㆍ매화(梅花)_62ㆍ아미산월가(峨眉山月歌)_63
ㆍ만성(漫成)_64ㆍ청명(?明)_66ㆍ산행(山行)_67
ㆍ규원(閨怨)_68ㆍ저주서간(?州西澗)_69
ㆍ죽리(竹里)_70ㆍ송인(送人)_70ㆍ우성(偶成)_71
ㆍ간음야점(艱飮野店)_72ㆍ개성인축객시(開城人逐客詩)_73
ㆍ시시비비(是是非非)_74ㆍ마석(磨石)_75
ㆍ범주취음(泛舟醉吟)_76
3. 율시(律詩)의 작법_77
ㆍ춘망(春望)_78ㆍ등고(登高)_79
1) 운(韻), 기식(起式), 압운(押韻), 수구압운(首句押韻),
수구불압운(首句不押韻) 원칙_80
2) 압운(押韻), 일운도저격(一韻到底格)_84
3) 압운(押韻)의 금기사항_87
① 대운(大韻) 사용 금지_87 ② 중운(重韻) 사용 금지_89
③ 동일한 뜻의 압운 금지_89 ④ 주운(湊韻) 금지_90
4) 사성팔병(四聲八病)_90
① 평두(平頭) 금지_91 ② 상미(上尾) 금지_92
ㆍ심홍존사불우(尋洪尊師不遇)_92
③ 봉요(蜂腰) 금지_93 ④ 학슬(鶴膝) 금지_94
⑤ 대운(大韻) 금지_94 ⑥ 소운(小韻) 금지_95
⑦ 방뉴(旁紐) 금지_95 ⑧ 정뉴(正紐) 금지_96
5) 평/측 안배와 2/4, 또는 2/4/6 부동(不同)_97
① 측기측수(仄起仄收)_97 ② 측기평수(仄起平收)_100
③ 평기평수(平起平收)_101 ④ 평기측수(平起仄收)_102
6) 점대(粘對) 원칙_103
7) 하삼평(下三平), 하삼측(下三仄), 고평(孤平) 금지 원칙_108
8) 대장(對仗) 방법_111
9) 조화로운 평/측 안배 방법_114
① 오언율시 평/측 안배 방법_114
② 칠언율시 평/측 안배 방법_118
10) 요체(拗體)와 구요(求拗) 방법_123
ㆍ월야(月夜)_124ㆍ등악양루(登岳陽樓)_128
ㆍ춘일억이백(春日憶李白)_131ㆍ송우인(送友人)_133
ㆍ망월회원(望月懷遠)_135ㆍ강촌(江村)_137
ㆍ곡강(曲江)1_138ㆍ곡강(曲江)2_140
ㆍ촉상(蜀相)_142ㆍ부석사(浮石寺)_143

제3장 / 율시의 대장(對仗)_149
1. 공대(工對) ㆍ양개황리명취류(兩個黃?鳴翠柳)_153
2. 관대(寬對) ㆍ답용문반수재견기(答龍門潘秀才見寄)_155
3. 인대(?對) ㆍ감춘(感春)_158
4. 자대(自對) ㆍ당구유대(當句有對)_160
5. 접대(接對) ㆍ곡강(曲江)2_164
6. 선대(扇對) ㆍ야문쟁중탄소상송신곡감구(夜聞箏中彈瀟湘送神曲感舊)_167
7. 대장의 분석_170
ㆍ춘망(春望)_170ㆍ춘일억이백(春日憶李白)_172
ㆍ월야(月夜)_174ㆍ등악양루(登岳陽樓)_175
ㆍ송우인(送友人)_176ㆍ과고인장(過故人莊)_178
ㆍ화석정(花石亭)_180ㆍ춘야희우(春夜喜雨)_182
ㆍ여야서회(旅夜書懷)_185ㆍ월(月)_187
ㆍ추회(秋懷)_190ㆍ노산산행(魯山山行)_192
ㆍ강촌(江村)_195ㆍ등고(登高)_197ㆍ촉상(蜀相)_198
ㆍ추흥(秋興)1_201ㆍ영회고적(詠懷古跡)1_204
ㆍ영회고적(詠懷古跡)2_207ㆍ영회고적(詠懷古跡)3_210
ㆍ영회고적(詠懷古跡)4_213ㆍ영회고적(詠懷古跡)5_215
ㆍ곡강(曲江)1_218ㆍ모춘(暮春)_220ㆍ객지(客至)_224
ㆍ춘우(春雨)_226ㆍ전당호춘행(錢塘湖春行)_229
ㆍ부석사(浮石寺)_232ㆍ기(棋)_235ㆍ낙화음(落花吟)_237
ㆍ필(筆)_240ㆍ사향(思鄕)_243ㆍ팔대시가(八大詩家)_246
ㆍ노음(老吟)_249ㆍ증모녀(贈某女)_251ㆍ구(狗)_255
ㆍ묘(?)_257ㆍ설(雪)_260ㆍ적우망천장작(積雨輞川莊作)_262
ㆍ춘진(春盡)_265ㆍ촌행(村行)_268ㆍ산원소매(山園小梅)_271
ㆍ소촌(小村)_275ㆍ서호춘일(西湖春日)_278
ㆍ유미당폭우(有美堂暴雨)_280ㆍ춘일교외(春日郊外)_284
ㆍ유산서촌(遊山西村)_286ㆍ과양촌(過楊村)_288
ㆍ경진서역청명(庚辰西域淸明)_291ㆍ용담야좌(龍潭夜坐)_293
ㆍ매촌(梅村)_296

제4장 / 변격(變格)율시 창작방법_299
ㆍ황학루(黃鶴樓)_300ㆍ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臺)_304

제5장 / 합장(合掌) 대장(對仗)의 금기사항인 뇌동(雷同)_307
ㆍ도중한식(途中寒食)_309
ㆍ춘일유장제거원지(春日遊張提擧園池)_311
ㆍ송리소부폄협중왕소부폄장사(送李少府貶峽中王少府貶長沙)_312
ㆍ알증노공(謁曾魯公)_315ㆍ견산루소음우작(見山樓小?偶作)_319
ㆍ객중작(客中作)_321ㆍ춘야별우인(春夜別友人)_323
ㆍ증최추포(贈崔秋浦)_325ㆍ야의(野意)_327

제6장 / 배율(排律)시_329
ㆍ증왕이십사시어설사십운(贈王二十四侍禦契四十韻)_330
ㆍ한우조행시원수(寒雨朝行視園樹)_340

제7장 / 부득(賦得)체 과거시험을 위한 시_347
ㆍ부득고원초송별(賦得古原草送別)_349

제8장 / 고체(古體)시 압운의 변화과정과 작법_353
ㆍ관저(關雎)_354ㆍ청청하반초(??河畔草)_358
ㆍ연가행(燕歌行)_359ㆍ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_362
ㆍ파상작(罷相作)_366ㆍ야전황작행(野田黃雀行)_367
ㆍ석벽정사환호중작(石壁精舍還湖中作)_369
ㆍ귀원전거(歸園田居)1_371ㆍ귀원전거(歸園田居)2_373
ㆍ귀원전거(歸園田居)3_375ㆍ음주(?酒) 제1_376
ㆍ음주(?酒)5_378ㆍ전가잡흥(田家雜興)_380
ㆍ월하독작(月下獨酌)1_383ㆍ월하독작(月下獨酌)2_384
ㆍ춘일취기언지(春日醉起言志)_386
ㆍ파주문월(把酒問月)_387ㆍ신안리(新安吏)_390
ㆍ석호리(石壕吏)_393ㆍ동관리(潼關吏)_396

제9장 / 전고(典故)와 성어(成語)를 인용한 시_399
ㆍ추야우중(秋夜雨中)_400ㆍ빈교행(貧交行)_403
ㆍ단가행(短歌行)_409ㆍ사오강가(思吳江歌)_413
ㆍ제이응유거(題李凝幽居)_415
ㆍ청평조(?平調)_418ㆍ무제(無題)_427
ㆍ명비곡(明妃曲)1_432ㆍ명비곡(明妃曲)2_435

제10장 / 회문(回文)시 특수한 형태의 고시_439
☆선기도(璿璣圖)☆_441
ㆍ금청류초격현상(琴?流楚激弦商)_443
ㆍ소작흥감소한신(蘇作興感昭恨神)_445
ㆍ상참부모증우심(傷慘懷慕增憂心)_446
ㆍ상사(相思)_448ㆍ춘지(春遲)_449
ㆍ상화귀거마여비(賞花歸去馬如飛)_449
ㆍ제금산사(題金山寺)_450
ㆍ춘기만직회문금(春機滿織回文錦)_452
ㆍ홍전단사공심한(紅箋短寫空深恨)_453

제11장 / 사(辭), 부(賦), 악부(樂府)시_455
ㆍ귀거래사(歸去來辭)_457ㆍ장진주(將進酒)_462
ㆍ홍문연도부(鴻門宴圖賦)_465

제12장 / 한시창작을 위한 종합제언_471

제13장 / 독자의 난(欄)_475

제14장 / 운서(韻書)_477
1. 운자(韻字)와 압운(押韻)_478
2. 운서(韻書)의 변화과정_479
3. 율시에서 압운(押韻)의 금기사항_480
4. 창화(唱和)_480
5. 현대한어의 성조(聲調)와 평/측의 상관관계_481
ㆍ上平聲(상평성) 15운_484ㆍ下平聲(하평성) 15운_492
ㆍ上聲(상성) 29운_498ㆍ去聲(거성) 30운_504
ㆍ入聲(입성) 17운_510

* 참고문헌_517

저자소개

저자 성기옥(成基玉)은

ㆍ 한시해설가
ㆍ 문학박사
ㆍ 전)방송대학교 연구교수

역서
문심조룡(文心雕龍)(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논형(論衡)(동아일보), 2016
논형교감(論衡校勘)(동아일보), 2016
논어와 명문 감상(지식과 감성), 2017

도서소개

한시의 이해와 작법의 지침서! 『한시漢詩 작법作法의 실제實際』은 한시 작법과 관련한 자세한 해설을 담았다. 한자의 체득과 중국어 낭송, 노래로 익히는 한시의 리듬, 압운의 응용과 다양한 표현 등을 익힐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