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수소산업/연료전지 R&D 동향과 이차전지 소재 용도별 시장전망

수소산업/연료전지 R&D 동향과 이차전지 소재 용도별 시장전망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16-08-16 출간
  • |
  • 652페이지
  • |
  • 216 X 300 X 37 mm /1908g
  • |
  • ISBN 9791158620288
판매가

330,000원

즉시할인가

297,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현재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화석연료 고갈로 인한 에너지 수급 불안정,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지구온난화의 심화이다. 전문가들 조사에 의하면 지구상의 화석연료는 그것이 만들어지는 속도에 비해 10만 배 이상이나 빠른 속도로 고갈되고 있으며, 석유 자원의 경우 이미 그 정점을 지나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화석연료를 중심으로 한 탄소경제에서 수소경제로의 이행은 당면한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소비량 세계 10위, 석유 소비량 6위권의 에너지 다소비국이며, GDP의 8.2%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유가상승과 국제 정세 변화에 따른 공급불안정 현상으로 에너지원의 효율적 이용과 다변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국내 에너지산업은 민간의 지속적인 노력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괄목할 만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후변화, 자원고갈 등 인류 생존문제 해결을 위한 당위성으로 장기적으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듯, 저탄소 녹색성장이 최근 전 세계의 글로벌 이슈로 등장함에 따라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감축 분야에서 장점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친환경 발전장치인 수소연료전지와 전기자동차와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장치인 이차전지가 주목 받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6년 3월 10대 기후기술 가운데 탄소저감 차세대 원천기술개발 분야에 지난해보다 10% 증액된 568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수소연료전지와 이차전지 분야의 기술혁신과 국가전략기술의 육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자료를 분석 정리하여 「수소산업/연료전지 R&D동향과 이차전지 소재·용도별 시장전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수소에너지 이용 현황, 수소연료전지 보급 현황과 기술개발 동향,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시장 전망과 정책 동향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 리튬이차전지 소재·용도별 시장 동향, 중대형 이차전지인 전기자동차/ESS용 이차전지 시장 동향과 기술 현황을 수록하였다.

목차

제Ⅰ편 수소산업/연료전지

제1장 수소산업·수소에너지 주요 동향
1. 수소에너지 산업의 주요 동향
1) 수소에너지 개요
(1) 수소에너지의 필요성
(2) 수소 산업의 환경 변화
가. 정책/제도적 환경
나. 경제적 환경
다. 사회/문화적 환경
라. 기술적 환경
마. 경쟁국 전략
2) 국내외 수소에너지 시장 동향
(1) 수소에너지 시장 규모
(2) 국내외 수소 시장 동향
가.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3) 국내 수소 생산 및 유통량과 수소제조 방식
(1) 화석연료 개질기술
가. 수증기 촉매 개질 공정(SMR, Steam Methane Reforming)
나. 프로판 탈수소화
다. 소금물 전기분해법
라. 매립지 가스 개질
마. 제철소 부생가스
4) 국내외 수소에너지 기술개발 현황
(1) 해외 현황
가. 미국
나. 일본
다. 독일
라. 영국
(2) 국내 현황
가. 미래창조부 수소에너지사업단
나. 산업통상자원부 수소연료전지사업단 및 에기평
다. 원자력 수소사업
라. 기타
마. 산업체 및 지자체의 움직임
5) 국내외 수소에너지 보급 현황
(1) 해외 현황
가. 미국
나. 독일
다. 일본
(2) 국내 현황
6) 수소에너지 분야 표준화 동향
2. 전력분야 수소에너지 이용 현황과 전망
1) 수소에너지 시스템 구성과 필요성
(1) 수소에너지 시스템 기술 개요
(2) 수소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저장시스템 필요성 및 구성
2) 수소에너지 전력저장시스템 이용 현황
(1) 수전해 및 연료전지 기술
(2) 재생에너지 이용 전력에너지 저장시스템
3) 수소에너지 전력저장시스템의 향후 전망
3. 수소경제·수소산업 동향과 경제적 파급효과
1) 수소경제 시대의 도래
(1) 수소경제의 정의
(2)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관건
2) 국내외 수소경제 현황 및 전망
(1) 해외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EU
(2) 국내 동향
3) 수소경제 이행의 경제적 파급효과
(1) 주요 이슈
(2) 경제적 파급효과
4. 수소도입이 에너지 수급에 미치는 영향
1) 기준안의 에너지 수요 및 온실가스 배출
(1) 에너지 수요 전망
가. 1차 에너지 수요 전망
나. 최종 에너지 수요 전망
(2) 온실가스 배출 전망
가. 1차 에너지 소비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전망
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전망
(3) 시스템 비용
2) 기준 수소 시나리오의 에너지 및 온실가스 영향
(1) 에너지 수요 영향
가. 1차 에너지 수요 영향
나. 부문별 최종에너지 수요 영향
(2) 온실가스 배출 영향
가. 1차 에너지 소비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영향
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영향
(3) 에너지 시스템 비용
3) 고 수소 시나리오의 에너지 및 온실가스 영향
(1) 에너지 수요 영향
가. 1차 에너지 수요 영향
나. 부문별 최종에너지 수요 영향
(2) 온실가스 배출 영향
가. 1차 에너지 소비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영향
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영향
(3) 에너지 시스템 비용
4) 저 수소 시나리오의 에너지 및 온실가스 영향
(1) 에너지 수요 영향
가. 1차 에너지 수요 영향
나. 부문별 최종에너지 수요 영향
(2) 온실가스 배출 영향
가. 1차 에너지 소비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영향
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영향
(3) 에너지 시스템 비용
5.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 미국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시책 동향
다. 재생에너지 원별 동향
(2) 중국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시책 동향
(3) 일본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시책 동향
(4) 독일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시책 동향
(5) 영국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시책 동향
(6) 스페인
가. 에너지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시책 동향
(7) 덴마크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시책 동향
다. 재생에너지 원별 동향
(8) 프랑스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시책 동향
2)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 기본계획, 정책 및 제도
(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
가. 개요
나. 주요내용
(2)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정책 및 제도
가. 수요자 맞춤형 보급·확산정책 추진
나. 시장친화적 제도운영
다. 신·재생에너지 해외시장 진출확대
라.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시장창출
마. 신·재생에너지 R&D 역량 강화
바. 제도적 지원기반 확충
(3)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 목표

제2장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 동향
1. 수소연료전지 산업 개요
1) 연료전지 정의 및 구성
(1) 정의
(2) 구성
2) 타 에너지 대비 연료전지의 특징
(1) 높은 발전효율
(2) 저공해, 저소음
(3) 발전규모 조절용이
3) 연료전지 종류
(1) 분류
(2) 종류별 특징
가. PAFC(Phosphoric Acid Fuel Cell)
나. PEM(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다. MCFC(Molten Carbonate Fuel Cell)
라. SOFC(Solid Oxide Fuel Cells)
마. DOE 목표치
4) 산업별 연료전지 분류 및 발전 동향
(1) 이동전원용 연료전지(DMFC)
(2) 수송용 연료전지
(3) 발전용 연료전지
(4) 건물용 연료전지
5) 연료전지 산업 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6) 연료전지 분야 환경 분석
(1) 정책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 및 특허출원 동향
1) 연료전지 기술개발의 필요성
(1) 에너지안보
(2) 환경보호
(3) 경제발전
2) 용도별 연료전지 개발 동향
(1) 수송용 연료전지
가. 개발 동기
나.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다. 향후 과제
(2) 발전용 연료전지
가. 개발 동기
나. 개발 현황
다. 향후 과제
(3) 건물용 연료전지
가. 국내외 환경조사
나. 국내 현황
다. 국내외 개발 현황
(4) 선박용 연료전지
가. 필요성
나. 국내외 개발 현황
(5) 휴대용 연료전지
가. 보조동력장치(APU)
나. 가전제품(Consumer Electronics)
(6) 특수목적용 연료전지
가. 이륜 수송(Two-Wheeled Transport)
나. 물류운반차(MHV)
3) 주요국 연료전지 기술개발 현황
(1) 미국
가. R&D 현황
나. PEMFC(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개발 현황
다. SOFC(Solid Oxide Fuel Cells) 개발 현황
라. 수송용 연료전지 개발 현황
(2) 일본
(3) 독일
가. 재생에너지 목표와 국가 기술개발 프로그램(NIP)
나. 수소연료 산업 증진을 위한 향후 지원
(4) 한국
4) 국내외 연료전지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 동향
5) 연료전지 특허출원 동향
(1) 세계 특허출원 동향
(2) 국내 동향
3. 수소연료전지 시장 전망과 업체 동향
1) 국내외 연료전지 시장 전망과 수출입 동향
(1) 세계 시장 및 수출입 동향
가. 시장 규모
나. 수출입 현황
(2) 국내 시장 및 수출입 동향
가. 시장 규모
나. 수출입 현황
2) 국내외 용도별 연료전지 시장 동향
(1) 분산발전용 연료전지
(2) 건물용 연료전지
(3) 수송용 연료전지
3) 국내외 연료전지 업체 동향
(1) 해외 동향
가. Plug Power(PLUG:US)
나. Ballard Power(BLDP:US)
다. FuelCell Energy(FCEL:US)
라. Bloom Energy
(2) 국내 동향
가. 발전용
나. 차량용 PEMFC
다. 주택 및 건물용
4. 수소연료전지 보급 현황과 정책 동향
1) 국내외 연료전지 보급 및 운영 현황
(1) 국내 보급 및 운영 현황
가. 정부의 과거 연료전지 보급 목표(~2011)
나. 신·재생에너지 및 연료전지 보급 현황
다. 연료전지 발전량
라. 연료전지 보급량
마. 연료전지 보급 잠재량 및 전망
(2) 해외 연료전지 보급 및 운영 현황
가. 세계 보급 현황
나. 국가별 보급 현황
2) 연료전지 보급효과 분석
(1) 분산전원으로서의 효과 및 국내외 운영 모델 사례
가. 분산형전원의 계통에 대한 효익
나. 연료전지의 계통에 대한 효익
다. 국내외 운영 모델 사례
(2) 환경적, 에너지절약 측면에서의 연료전지 보급효과
(3) 국가적, 소비자 측면에서의 연료전지 보급효과
가. 국가적 측면의 연료전지 보급 효과
나. 소비자 측면의 연료전지 보급 효과
3) 연료전지 정책 동향
(1) 시기별 정책 방향
가. 국내
나. 해외
(2) 국내외 정책 동향
가. 국내 연료전지 보급 정책
나. 세계 정책 동향
5. 수소연료전지 실용화 요인 및 육성전략
1) 국내외 실용화 현황과 정책
(1) 해외 실용화 현황과 정책
가. 미국
나. 일본
(2) 국내 실용화 현황과 정책
가. 수소연료전지 기술실용화 성과
나. 기술실용화 관련 법
다. 기술실용화 관련 제도
라. R&D 평가체계
마. 기술실용화 관련 예산 구조
2) 수소연료전지 실용화 요인 분석
(1) R&D 측면
(2) 인프라 측면
가. 초기 보급형 수소 충전소 구축을 위한 연구 개발 과제
나. 가격저감을 위한 연구 개발 과제
다. 핵심 소재 및 부품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과제
라. 기술 실증을 통한 핵심 기술 확보 과제
(3) 기술수용성 측면
가. TAM 분석의 이론적 배경
나.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다. 설문문항 설계 및 변수의 정의
라. 조사 방법
마. 실증 분석결과
3) 수소연료전지 실용화 전략
(1) R&D 측면
가. 초기 보급형 수소 충전소 구축을 위한 연구 개발 과제
나. 가격저감을 위한 연구 개발 과제
다. 핵심 소재 및 부품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과제
라. 기술 실증을 통한 핵심 기술 확보 과제
(2) 인프라 측면
(3) 기술수용성 측면
가. 기기의 신뢰성 확보 및 사후관리 강화
나. 수소연료전지의 유용성에 대한 교육 및 홍보 강화
다.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정책
라.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노력

제3장 수소연료전지차/수소충전소 동향
1. 수소연료전지차(FCEV) 개요
1) 수소연료전지차의 정의 및 구조
(1) 정의
(2) 환경성
(3) 구조
2) 수소연료전지차의 특성
(1) 장점
가. 높은 에너지 효율
나. 무공해
다. 연료의 무제한
(2) 단점
가. 고가의 차량 가격
나. 수소 공급 인프라 문제
다. 차내 수소 저장의 문제
라. 내연기관의 부재
마. 촉매에 백금 사용
2. 친환경자동차 시장 전망과 보급 정책
1) 친환경자동차 개요
(1) 친환경자동차 정의 및 종류
가. 정의
나. 종류
(2) 친환경자동차 비교
가. 특징 비교
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 국내외 친환경자동차 보급 현황
3) 국내외 친환경자동차 보급 정책
(1) 해외 개발 및 보급 정책
가. 친환경자동차 산업의 육성
나. 각국의 지원 내용
다. 판매 현황
라. 주요 5개국 신차 등록 현황
(2) 국내 보급 정책
가. 친환경자동차 보급 목표
나. 친환경자동차 인센티브 혜택
다. 친환경자동차 충전소(시설) 확충
4) 친환경자동차 시장 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동향
(2) 분야별 시장 현황
가. 지역별 시장 현황
나. 종류/업체별 판매 현황
(3) 기술별 시장 전망
가. 주요 시장동인 및 제한요인
나. 국내 시장규모 전망(2012~2020)
다. xEVs 타입별 전망(2012~2020)
(4) 기술별 가격 전망
가. 기준연도 가격
나. 가격 전망(2012~2020)
(5) 투자 및 수출 전망
가. 정부 및 민간 투자 - R&D 및 설비 투자, 실증
나. 수출
3. 수소연료전지차 산업 현황과 시장 전망
1) 수소연료전지차 산업 현황
2) 수소연료전지차 시장 전망
(1) 단기적인 전망
(2) 장기적인 전망
4. 수소연료전지차 정책 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1) 미국
(2) 유럽
(3) 일본
2) 국내 정책 동향
(1) 주요 정책
(2) 수소연료전지차 및 수소충전소 보급 계획
(3) 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안)
(4) 민간보급 활성화 ⇒ 초기시장 형성
5. 수소연료전지차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기술개발 동향
(1) 미국
가. 포드
나. GM
(2) 유럽
가. 다임러 벤츠
나. 폭스바겐
(3) 일본
가. 도요타
나. 혼다
다. 닛산
2) 국내 기술개발 동향
6. 수소연료전지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현황
1) UN/ECE/WP.29 활동 현황
(1) SGS(안전분과)
(2) ELSA(전기안전분과)
2) 국내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현황
(1) 연구 현황
(2) 주요 연구내용
가. 연료 공급시스템 고정성 시험
나. 수소 저장시스템 충돌시험
다. 자동차 화재시 안전성 평가
라. 수소누설 위험모델 안전확보 연구
마. 실차화재시험
바. 전자파 적합성 시험
3) 안전기준 제개정 현황
(1) 수소안전성
(2) 운행안전성
(3) 전기안전성
4) 결론
7. 수송용 수소저장기술 개발 동향
1) 수송용 수소 저장기술의 중요성
2) 수소 저장 방식의 비교
3) 수소용기 개발 동향
(1) 국내 개발 동향
(2) 해외 개발 동향
4) 향후 전망
(1) TYPE-3와 TYPE-4 용기의 장단점
(2) 수소용기 설계최적화 연구의 필요성
(3) 알루미늄 라이너 업체의 부상 가능성
8.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과 기술개발 동향
1) 수소충전소 정의 및 공급방식
(1) 정의
(2) 공급방식
가. Off-site 방식의 수소충전소
나. On-site 방식의 수소충전소
2) 국내외 수소충전소 현황
(1) 해외 현황
(2) 국내 현황
3) 수소충전소 기술개발 동향
(1) 국내외 수소제조장치 기술개발 동향
(2) 국내외 수소충전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제Ⅱ편 이차전지

제1장 이차전지 주요 산업 동향
1. 이차전지 개요
1) 이차전지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종류
가. 정의
나. 종류
(2) 작동원리
(3) 범위
2) 이차전지의 중요성
(1) 세계시장이 급속히 확대되는 新수종 산업
(2)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핵심 요소
(3) 전력 소비효율성 제고를 위한 핵심 인프라
3) 이차전지의 구성
(1) 구성
(2) 세라믹 소재
4) 이차전지 산업 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5) 이차전지 산업 환경 분석
(1) 정책(Politics)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Econom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Societ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Technolog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이차전지 시장 전망과 업체 동향
1) 국내외 이차전지 시장 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2) 이차전지 수출입 동향
3) 국내외 이차전지 업체 동향
(1) 해외 업체 동향
가. 일본
나. 중국
다. 미국
(2) 국내 업체 동향
3. 이차전지 기술개발 및 특허출원 동향
1) 국내외 이차전지 기술 동향
(1) 해외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라. 중국
(2) 국내 동향
가. 이차전지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기술개발
나. 소재개발 동향
다.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
라. 전력저장용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
2) 이차전지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 동향
3) 이차전지 분야 특허출원 동향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4. 이차전지 부품 산업 동향
1) 이차전지 부품의 개요
(1) 필요성
(2) 분류
가. 제품 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3) 산업 특징 및 구조
2) 국내외 이차전지 부품 시장 현황 및 전망
3) 국내외 이차전지 부품 업체 현황
(1) 해외 업체 및 제품 현황
(2)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4) 국내외 이차전지 부품 특허출원 동향
(1) 세계 특허출원 동향
(2) 국내 특허출원 동향
5. 이차전지 성능평가장비 산업 동향
1) 이차전지 성능평가 장비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제품 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3) 산업 특징 및 구조
2) 이차전지 성능평가 장비 시장 및 업체 동향
(1)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외 업체 현황
가. 해외 업체 및 제품 현황
나.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3) 국내외 이차전지 성능평가 장비 특허출원 동향
(1) 세계 특허출원 동향
(2) 국내 특허출원 동향
6. 리튬공기전지 기술 동향
1) 리튬공기전지 개요
2) 리튬공기전지 기술 동향
(1) 해외 동향
가. 리튬연료전지 타입 리튬공기전지
나. 고체무기화합물 전해질 타입 리튬공기전지
다. 겔 타입 리튬공기전지
(2) 국내 동향
3) 리튬공기전지의 향후 전망

제2장 리튬이차전지 소재·용도별 동향
1. 리튬이차전지 개요
1) 리튬이차전지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제품 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리튬이차전지 밸류 체인 및 제조사 현황
(1) 리튬 공급
가. 글로벌 리튬 공급
나. 남미 지역의 리튬 매장량
다. 기타 지역의 리튬 매장량
라. 리튬의 활용
(2) 남미 지역으로부터의 리튬 구매
가. 남미 지역의 리튬 매장량 집중
나. 볼리비아
(3) 리튬 밸류 체인
(4) 광업회사, 리튬이온배터리 및 전기차 제조사 리스트
가. 리튬이온배터리 제조사 현황
나. 주요 리튬 채굴기업 현황
다. 전기차 유형별 제조사 현황
3) 리튬이온·리튬에어·솔리드전해질 배터리 비교
2. 리튬이온전지 성장 요인
1) 리튬이온전지 가격 하락
(1) 성장기 분할 가설 제시
(2) 소형 리튬이온전지
(3) 중대형 리튬이온전지
(4) 리튬이온전지 원가 구성 점검
가. 양극재(Cathode)
나. 음극재(Anode)
다. 분리막(Separator)
라. 전해액(Electrolyte)
2) 친환경차(xEV) 시장 확대
(1) 신규 모델 출시 지속과 가격 인하를 통한 시장 성장
(2) 각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정책을 통한 제도적 장치 강화
(3) 급속 충전 방식 통일과 충전소 인프라 확대가 관건
3) 에너지저장장치(ESS) 도입 필요성 확산
(1) ESS 도입 배경
(2) 리튬이온전지 방식에 주목
(3) ESS 시장 성장은 리튬이온전지 성장동력 강화 포인트
3. 리튬이차전지 기술 현황과 특허출원 동향
1) 주요 소재별 기술개발 동향
(1) 양극재
(2) 음극재
(3) 분리막
(4) 전해질
2) 국내외 리튬이차전지 특허출원 동향
(1) 세계 특허출원 동향
(2) 국내 특허출원 동향
4. 리튬이차전지 시장 전망과 업체 현황
1) 국내외 리튬이차전지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2) 소재별 리튬이차전지 시장 동향
(1) 양극재
(2) 음극재
(3) 분리막
(4) 전해액
(5) 기타 충전 인프라, BMS 등
3) 용도별 리튬이차전지 시장 동향
(1) 용도별 시장 전망
(2) 한·중·일 글로벌 3강 각축전
가. 일본
나. 중국
4) 국내외 리튬이차전지 업체 현황
(1) 해외 업체 및 제품 현황
(2)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제3장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 기술 동향
1.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과 기술 동향
1) 전기자동차 개요
(1) 정의
(2) 종류
가.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다. 순수 전기자동차
(3) 구조
(4) 전기자동차 특성
가. 배터리
나. 구동모터
다. 인버터/DC-DC 컨버터
라. 전력 반도체 및 제어모듈
마.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성
(5) 중요성
가. 환경적 측면
나. 기술적 측면
다. 시장적 측면
2) 국내외 전기자동차 시장 동향
(1) 해외 시장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내 시장 동향
3) 국내외 전기자동차 업체 동향
(1) 해외 업체 동향
가. GM
나. 포드
다. 도요타
라. BMW
마. 다임러
바. 폭스바겐
사. 르노-닛산
(2) 국내 업체 동향
가. 현대-기아 자동차
나. 르노-삼성
다. 쌍용자동차
4) 국내외 전기자동차 기술 동향 및 경쟁력 분석
(1) 해외 기술개발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내 기술개발 동향
가. 정부 주도 기술개발
나. 민간 주도 기술개발
다. 국내 기술 수준
(3) 국내 기술경쟁력 분석
2. 전기자동차 정책 동향
1) 국내외 전기자동차 정책 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라. 중국
(2) 국내 정책 동향
(3) 전기자동차 분야 R&D 정부지원 현황
가. 차량 개발
나. 부품 개발
다. 보급 정책
라. 주요 정책적 성과
마. 향후 지원 방향
2) 전기자동차 분야 R&D 정부지원 현황
(1) 차량 개발
(2) 부품 개발
가. 모터
나. 배터리
다. 공조
라. 충전기
마. 차량 경량화
(3) 보급 정책
(4) 주요 정책적 성과
(5) 향후 지원 방향
3.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기술개발 및 시장 전망
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야별 기술 동향
(1) 자동차 종류별 기술 현황
가. HEV
나. PHEV
다. EV
(2) 배터리 차량 적용 기술
가. 리튬이온전지
나. 셀 소재
다. 배터리 모듈화 및 패킹 기술
라. 배터리 열관리 기술
마. 부품 공용화
바. 배터리 수명해석
(3) 주요 업체별 기술개발 현황
가. Shin-Kobe
나. GmbH
다. GM
라. 다이믈러
마. 폭스바겐
바. BMW
사. Toyota
아. Mazda
2)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시장 현황 및 전망
(1) 시장 현황
(2) 시장 전망
가. 시장 성장
나. 배터리 대용량화
다. 전기버스 등 잠재시장
3) 전기자동차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동향
(1) BMS 개요
가. 정의
나. BMS 구성 및 기능
(2)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 및 BMS의 활용 현황
가. BMS의 구조
나. BMS의 기본 기능
다. BMS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
라. BMS 소프트웨어의 요구 성능
(3) 전기자동차용 BMS 동향 분석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4) 향후 전망
4.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기술 동향
1)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개요
(1) 이차전지 종류 및 특징
(2) 리튬이차전지 적용
(3) 리튬이차전지 에너지 효율
2)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시장 동향
3)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기술 현황
(1) 이차전지 시스템의 설계/패키징
가. 선진사별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시스템 주요 사양
나. 리튬이차전지 팩/시스템의 주요 설계 기술
(2) 전기자동차(xEV) 구동용 리튬이차전지의 핵심 부품별 기술 동향
가. 양극활물질
나. 음극활물질
다. 전해액
라. 분리막
4) 차세대 전기자동차 구동용 이차전지 기술
(1) 리튬이차전지의 한계
가. 리튬-유황전지
나. 리튬-공기전지
5.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보급 현황과 정책 동향
1)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개요
(1) 정의
(2) 충전인프라 구성
가. 전력공급설비
나. 충전기
다. 인터페이스
라. 충전정보시스템(환경부)
(3) 전력공급설비
가. 전력공급 방식에 따른 구분
나. 인입구 배선
다. 분전반
라. 전기계기
(4) 충전기 유형
가. 직접 충전
나. 비접촉식 충전방식
다. 배터리 교환방식
(5) 충전정보시스템
(6) 기관별 역할분담
가. 환경부
나.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다. 국가기관
(7)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축 과제
가. 짧은 충전 시간
나. 적정 숫자의 충전소와 커버리지
다. 글로벌 표준화
2) 국내외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현황과 정책 동향
(1) 해외 동향
가. 미국
나. 중국
다. 독일
라. 영국
(2) 국내 동향
가. 보급 현황 및 계획
나. 정책 동향
3)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산업 동향
(1) 국내 동향
가. 전기자동차 충전소 설치 운영 사례 분석 및 향후 기술 개발 과제
나.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지능형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발전 방향
(2) 해외 동향
(3) 향후 전망

제4장 ESS(에너지저장장치)용 이차전지 전망
1. ESS 시장 전망과 기술 동향
1) ESS 개요
(1) 정의
(2) 필요성과 용도
(3) 개발 배경
가. 전기 소비 환경의 변화
나. 전력부족에 대한 대안
(4) 효과
가. 기존 전력계통의 특성
나. 스마트 그리드와 ESS
(5)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성
나. 산업 구조
(6) 환경 분석
가. 정책(Politics)
나. 경제(Economy)
다. 사회(Society)
라. 기술(Technology)
2) ESS 종류 및 활용분야
(1) 종류
(2) 배터리 분야별 기술 개요
가. 나트륨황전지(NaS Battery)
나. 레독스 흐름전지(Redox Flow Battery, RFB)
다. 리튬이온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3) 기술별 활용분야 및 성숙도
3) ESS 시장 전망과 업체 현황
(1) 국내외 시장 규모
가. 세계 시장 규모
나. 국내 시장 규모
(2) 국내외 시장 동향
가. 시장 현황
나. 시장 전망
(3) 수출입 동향
(4) 주요 업체
가. 시장점유율
나. 기술별 주요 업체
(5) 국내외 업체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4) ESS 기술개발 현황과 기술수준
(1) 국내외 R&D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2)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5) ESS 특허출원 동향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2. ESS 관련 정책 동향
1) 에너지 산업 육성 정책
(1) 개요
(2) 신재생에너지 확대 적용
(3) RPS규제 합리화 방안
2) 주요국 ESS 추진 동향
(1) 미국
(2) 호주
(3) 영국
(4) 독일
(5) 일본
(6) 중국
3) 국내외 ESS 정책 동향
(1) 해외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내 동향
3. ESS용 리튬이차전지 시장 전망
1) ESS용 이차전지 시장 예측
2) ESS용 리튬이차전지 시장 동향
(1) 국내 리튬이차전지 업체 ESS 수주 동향
가. 신재생 발전용 전력 안정화
나. 전력 계통 안정화 및 피크 전력 대응
다. 일본의 UPS 및 스마트그리드
(2) ESS는 중대형 이차전지 시장 핵심성장동인
(3) ESS용 LIB 시장 침투 가속화
통계(도표)

도서소개

저탄소 녹색성장이 최근 전 세계의 글로벌 이슈로 등장함에 따라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감축 분야에서 장점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친환경 발전장치인 수소연료전지와 전기자동차와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장치인 이차전지가 주목 받고 있다. 『수소산업/연료전지 R&D 동향과 이차전지 소재 용도별 시장전망』은 수소연료전지와 이차전지 분야의 기술혁신과 국가전략기술의 육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자료를 분석 정리하여 관련 업종 종사자들이 내용을 이해하고 시장전망을 해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