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일평생 연애주의

일평생 연애주의

  • 마광수
  • |
  • 문학세계사
  • |
  • 2010-07-19 출간
  • |
  • 130페이지
  • |
  • 150 X 234 mm
  • |
  • ISBN 9788970754987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0,000원

즉시할인가

9,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쓸쓸하면서도 관능적인 황홀감과 비애감
마광수식 에로티시즘, 마광수 신작 시집 출간!


우리 사회에 존재해 온 육체적 욕망에 대한 이중성을 비판하고 ‘성의 신성화’라는 뿌리 깊은 위선과 기만에 반기를 들었던 마광수 시인(60)이 신작 시집 『일평생 연애주의』(문학세계사)를 통해 새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간 시ㆍ소설을 넘나들며 에로틱 판타지라는 문학적 장치를 통해 성性을 모든 금기에서 해방시켜 자유롭게, 주체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즐길 것을 제안하였던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기존의 작품에서 보여 주었던 도발적이고 대담한 성적 담론뿐 아니라 삶이 주는 허망함, 쓸쓸함을 쉽고 명쾌한 언어로 묘사해낸다.
1977년 박두진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한 마광수 시인은 시집의 자서自序를 통해 “시는 내 문학의 본원”이며, “감상感傷과 퇴폐頹廢는 내 시의 영원한 화두”임을 분명히 한다. 그러면서 시인은 이번 시집에 묶인 자신의 시들에 대해 비애감과 황홀감을 느끼는데, “비애감은 주로 늙어감의 슬픔에서 나온 것이고, 황홀감은 주로 관능적 판타지에서 나온 것”이라 고백한다.
마광수식 에로티시즘이 주를 이루는 『일평생 연애주의』는 전통적으로 ‘서정시’가 갖는 장르적 정체성을 해체하고 창조적으로 넘어서려는 발화 방식을 통해 몽상적인 성적 판타지와 자유로운 담론적 일탈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번 시집에서는 기존의 작품에서 보여 주었던 도발적이고 대담한 성적 담론뿐 아니라 등단 초기 『광마집狂馬集』과 『귀골貴骨』에서 보여주었던 작품의 연장선상에 있는 인간 존재의 근원적 이유를 철학적 명상으로까지 이끌어내기도 한다. 이는 올해 환갑을 맞은 마광수 시인의 정신적, 문학적 변모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한때 한국 문학계에서 ‘예술과 외설’의 문제로 논쟁의 중심에서 커다란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던 마광수 문학은 이제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되고 있다. 그를 구속으로 몰고 갔던 소설 『즐거운 사라』는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출판이 금지된 채로 남아 있지만, 일본 문단에서는 이 소설을 성장기 여성의 이상 성 심리를 차별화된 독특한 시각으로 그린 심리주의 성장소설로 받아들여 한때 일본 서점가에서 베스트셀러의 반열에 오르기도 했다. 또한 올해 5월 그의 에세이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는 국내 연극무대에 올라 새로운 조명을 받기도 하였다.

1. 쾌락, 본능 그리고 에로틱 판타지로의 유혹

마광수 교수의 시세계는 ‘세속의 세계관’과 ‘실용적 쾌락주의’로 다듬어진 견고한 철학적 사유로 무장되어 있다. 그는 범세계적 보편론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한국의 작가들 중에서는 드물게 세계성을 획득하고 있다. 그는 줄곧 관능적 휴머니즘을 주장하는데, 그것은 우선 인간이라면 자연과 공존해야 하고, 서로 솔직하게 사랑해야 하고, 성적인 것을 갈구하며 상상력이 넘치는 사고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마광수 교수의 사상 속에는 한국이 21세기에 들어서 얻은 가장 민중적인 가치관들이 함유되어 있다. 정직한 성, 야한 사랑, 육체 중심의 쾌락주의, 놀이 본능적 사고 등등. 그는 권위적 엘리트주의를 혐오하며 대중적인 것에 대해 천착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그것을 온몸으로 실천한다. 그는 수구적 봉건 윤리에 바탕을 둔 억압적 성관념에서 벗어나오는 방법으로 개성적 방식의 다형도착(多型倒錯, 이른바 변태적 섹스들을 고루 섞어서 하기)과 페티시즘, 그리고 당당한 나르시시즘을 제시하면서 ‘천상천하 유아독존’식의 자아독립을 강조한다. 이런 다원주의적 사고는 궁극적 자유의 획득을 위한 필수 요건이며, 굳어버린 지배적 결정론들에 대한 강력한 거부행위이다.

나는 사랑이 헤픈 여자가 좋다
나는 섹스가 헤픈 여자가 좋다

누구랑 만나도 금세 장미여관 가고
누구랑 헤어져도 전혀 삐치지 않고

늘 마음속은 귀여운 음탕함으로 가득 차 있고
늘 긴 손톱으로 남자의 온몸을 슬글슬근 쓰다듬어주는

아, 꿈에서나 만나볼까, 그런 야한 여자
아니, 내 생애 꼭 만날 거야 그런 자유로운 여자

오오오 그녀의 아름답게 찢어진 순결
아아아 그녀의 헤프디헤픈 터치

오라 자유여, 거리낌없이 발랄한 성욕이여
가자 거기로, 빨가벗고 뛰놀던 에덴 동산으로
――「나는 헤픈 여자가 좋다」 전문

사랑은 ‘무조건 주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 핥고 빠는 것’

사랑은 ‘영혼의 대화’가 아니라
‘SADO - MASOCHISM의 대화’

사랑은 ‘정신적 신뢰감’이 아니라
‘육체적 재미와 쾌락’

최고의 사랑은 ‘세찬 정력의 삽입성교’가 아니라
‘삽입성교를 싫어하는 변태끼리의 관능적 유희’
――「사랑에 관한 단장斷章」 전문

필화 사건으로 그가 법정에서 구속되고, 다니던 학교에서마저 한때나마 해직당하게 된 것도, 따지고 보면 공식적인 루트로는 절대 표현해서는 안 될 이러한 사회적 금기 사항들을 앞장서 깨뜨린 데 대한 일종의 괘씸죄가 발동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이런 것들은 음지에서나,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해서나 은밀하게 이루어지는 퇴폐적이고 음란한 행위들일 뿐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엄연한 지도층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교수가, 차마 입에 올리기 민망한 내용들로 가득 찬 글을 써서 유포시켰다는 것 자체가 기존의 통념상 받아들여지기 힘든 일이었다.

육체적 접촉이 없는 만남이란 전혀 의미가 없어
그래서 몇 년 전부터는
친구들을 만나는 것도 귀찮고 따분하게 여겨져

하긴 그런 이유에서 진짜 우정은 반드시
동성애로 발전해야 하는 건지도 모르지

살을 섞는 만남, 피부끼리의 살갗 접촉(skinship)에 의한
섹시섹시한 만남만이
진짜 이심전심의 만남이 될 수 있어
――「정신적 사랑은 가라」 부분

가게 안에는 그와 비슷한 취향을 가진 남자들 서너 명이 역시 같은 종류의 물건을 고르고 있다. 이윽고 다 찾아낸 그는 탈의실로 들어가서 옷을 갈아입는다. 30여 분 후에는 누구도 몰라볼 정도로 완벽한 여자로 변신해서 나온다. 그후 그는 도심의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여자가 된 기쁨을 만끽한다. 거리를 도는 시간은 약 한 시간 정도다. 백화점 안에도 들어가보고 싶지만 워낙 여자가 많은 곳이라 아직까지는 시도하지 못하고 있다. 도심의 거리를 돌고 나서 그는 다시 아까의 가게로 돌아온다. 여성으로 변신하는 데 드는 가발과 팬티와 브래지어, 거들, 스타킹, 블라우스와 스커트. 그리고 몇 가지의 액세서리 등의 대여료와 화장품 등의 사용료는 약 10만 원 정도다. 그는 몸집이 작아서 그나마 다행인 편이다.
――「남자로 태어난 슬픔」 부분

뒤집어 생각해본다면 위반의 충동을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금기란 이미 금기라고 할 수 없다. 강력한 금기일수록 위반에의 유혹은 더욱 강렬할 것이니, 이 경우 금기가 금기일 수 있는 것은 그 속에 이미 이와 같은 위반에의 충동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금기란 어쩌면 애초부터 위반을 전제로 함으로써만 의의를 지니는 것이라고 뒤집어 생각해볼 필요는 없을까.
물론, 그리고 당연히, 금기의 위반에는 그에 상응하는 처벌이 뒤따른다. 그 처벌 가운데 가장 보편적인, 동시에 가장 가혹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절대 다수의 공동체 구성원들로부터 “미쳤다”는 비난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한 가지, 이런 비난을 퍼붓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잊고 있는 것이 있다. 역사의 흐름은 때론 이와 같이 금기의 틀을 깨고, 그것에 맞서 도전하는 이단아들에 의해 바뀌어왔다는 사실이다.

2. 쓸쓸한 사랑 노래, 관능과 몽상의 시학

마광수에게 있어 문학은 ‘과거에 대한 끊임없는 회의요, 미래에 대한 끊임없는 꿈꾸기’이다. 마광수는 문학은 ‘상상력의 모험’이며 ‘금지된 것에 대한 도전’이라고 주장한다. 문학은 도덕적 설교가 아니고, 당대當代의 가치관에 순응하는 계몽서도 아니라는 것이다. 문학은 기성 도덕에 대한 도전이어야 하고, 기존의 가치체계에 대한 ‘창조적 불복종’이요, ‘창조적 반항’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마광수는 “나는 반항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그러므로 나는 외롭다”고 말한다. 참된 문학은 당세풍當世風의 기득권 윤리에 대한 반발이므로 창조적 문학인은 당연히 외로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죽여 버리고 싶은 놈들도 많아지고
죽여 버리고 싶은 년들도 많아지고

공연히 어줍잖게 혁명도 하고 싶어지고
공연히 촌스럽게 계몽도 하고 싶어지고

사람들이 싫고 이 나라가 싫고 이 우주가 싫고
절망도 어렵고 희망도 어렵고 사랑은 더 어렵고
――「이 서글픈 중년」 부분

무엇이 이토록 그를 미칠 지경에까지 몰아넣었는가. 마광수는 지극히 정상적인 멘털리티를 지닌 사람이다. 그런 그가 일반인들에게 미친 사람 취급을 받는 데는 물론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절대 넘어서서는 안 될 선, 즉 우리 사회 일반의 금기를 넘어선 주장을 서슴없이 자신의 글에 담았기 때문이다.
금기가 존재하지 않는 사회란 없다. 금기란 어차피 인간적인 산물이며 인간의 사회적 필요에 의해 창출된 것이기 때문이다. 한 사회의 금기는 지켜져야 하지만, 지켜지는 것이 그 사회의 안정과 존속을 위해 우선 바람직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신성불가침의 절대 영역인 것은 아니다. 금기란 필연적으로 그에 따른 위반의 충동을 부르기 때문이다.

돌아오려무나 아무도 모르게
옛 시절의 청춘이여
옛 시절의 사랑이여
나의 행복했던 희망이여

푸른 꿈이여 지금 어디에
자취도 없이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느냐 꺼져버렸느냐

나는 늙었다 지쳤다 피곤하다
사랑 없음의 외로움
섹스 없음의 괴로움

돌아오라 내 청춘
돌아오라 내 꿈들
잘 가라 내 고독
잘 가라 내 수음手淫
푸른 꿈이여 지금 어디에
――「푸른 꿈이여 지금 어디에」 전문

이번 시집에서 그는 유난히 쓸쓸하다. 늙고, 지치고, 피곤하고, 외롭다. 돌아올 수 없는 청춘을 회상하고 그리워하기도 하며 손가락질받고 법적ㆍ사회적 처벌과 조롱을 힘겹게 견뎌내며 지나온 삶을 후회하고 반성하기도 한다.

나의 고된 삶 속에서
그나마 한 줌 상상적 휴식이 돼 주었던
그녀와 나의 잠자리가
타락이었다고 그래서 반성한다고
――「내가 쓸 자서전에는」 중에서

3. “그는 반항한다. 고로 그는 존재한다. 그러므로 그는 외롭다.”――마광수를 말한다

“그를 구속으로 몰고 갔던 소설 『즐거운 사라』는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출판이 금지된 채 남아 있다. 그러나 일본 문단의 경우만 하더라도, 이 소설을 성장기 여성의 이상 성 심리를 차별화된 독특한 시각으로 그린 심리주의 성장소설의 일종으로 이해하며 호의적인 평가를 내린 바 있다. 그 결과 이 소설의 일어 번역본은 한때 일본 서점가에서 베스트셀러의 반열에 오르기도 했다. 이처럼 인간이 스스로의 본원적인 욕망을 당당하게 공개된 장소에서 드러낼 수 있을 때, 비로소 우리 문화 예술계도 리얼한 에로티시즘의 정수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언제가 될는지 미리 점칠 수는 없겠지만, 어쩌면 별로 멀지 않은 시기에 마광수와 그가 남긴 불온한 유산들은 시대를 앞질러간 혁명적인 사건으로 우리의 문화 예술사에 등재될 날이 올지도 모를 일이다. 다만 그런 날이 오기 전까지 그에게 주문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그가 하루빨리 지난날의 정신적 충격에서 벗어나 이제까지의 작업들에서 이루어놓은 성과들을 더욱더 정련하고 가치화하는 작업에 몰두해주길 바란다는 점이다. 그것이 바로 오늘날 우리의 문화 예술계가 시대의 이단아 마광수를 위해 남겨놓은 마지막 과제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김유중(문학평론가, 서울대 교수)

“마광수 교수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는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지녀온 ‘교육의 신화’를 전면 거부하는 것이었다.”
――조종혁(한국외국어대 교수)

“마광수의 주장은 섹스가 소비의 대상이 된 현실을 직시하자는 요청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그는 섹스를 모든 금기에서 해방시켜 자유롭게, 주체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즐길 것을 제안함으로써 그간 우리 사회에 존재해 온 섹스에 대한 이중성을 타파하고자 한다. 그는 섹스가 육체와 정신의 자연스러운 욕구에 부응하는 ‘소비행위’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성의 신성화’라고 하는 우리 시대의 뿌리 깊은 위선과 기만에 도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머지않아 ‘시대를 앞서간 지식인’으로 평가받을 게 분명하다는 걸 인정하는 데 인색해서는 안 된다. 그에 대한 ‘마녀 사냥’이 한창 진행되던 때로부터 불과 몇 년이 지나지 않아 그가 했던 주장은 더욱 찬란한 빛을 발하고 있지 않은가”
――강준만(전북대 교수)

목차


일평생一平生 연애주의 ―― 11
당신은 사랑을 몰라요 ―― 12
세월 ―― 14
어느 마조히스트의 모노로그 ―― 15
사랑은 그저 바라보는 것 ―― 16
사랑학 개론 서장序章 ―― 18
알 수 없어요 ―― 20
정신적 사랑은 가라 ―― 21
이별 ―― 22
사랑의 얄궂음 ―― 24
시애屍愛 ―― 25
한 소년이 있었네 ―― 26
미녀와 야수 ―― 27
그녀가 알면 날 사랑하지 않을까 두려웠기 때문에 ―― 28
그래도 내게는 소중했던 ―― 29


나도 못생겼지만 ―― 33
나를 슬프게 하는 것들 ―― 34
당신의 탄생일을 기다리며 ―― 37
걸인乞人에게 ―― 40
사계四季 ―― 43
살아감의 괴로움 ―― 44
쾌락과 염세厭世만이 ―― 46
남자로 태어난 슬픔 ―― 48
도덕을 팔아먹고 사는 사람들 ―― 50
한국 페미니스트 여성들에게 보내는 충고 ―― 52
사랑은 언제나 슬프게 끝나요 ―― 54
여자만 왜? ―― 56
늙어서의 슬픔도 동정을 받을까 ―― 57
왜 뱀은 구르는 수레바퀴 밑에 자기 머리를 집어넣어 말벌과 함께 죽어버렸는가? ―― 58
마음 비우기에 대하여 ―― 59


구혼 광고 ―― 63
나는 헤픈 여자가 좋다 ―― 64
사랑에 관한 단장斷章 ―― 65
한 마조히스트 여성의 사랑 노래 ―― 66
가장 야한 색은 검정색 ―― 68
나태懶怠는 미美의 원천 ―― 69
그때 그 키스 ―― 70
나는 노래를 부르다 가면 그뿐 ―― 71
나는 열여섯 살이에요 ―― 72
사랑해, 하이힐 ―― 74
어느 전위 음악가의 퍼포먼스 ―― 76
사랑 죽이기 ―― 77
우울한 날의 정사情死 ―― 78
해탈解脫 ―― 80
생각하는 소녀 ―― 81


아스라이 잊혀져 간 ―― 85
출발 ―― 86
이혼 ―― 87
달따기 ―― 88
다시 비 ―― 90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게 많지 않다 ―― 91
검푸른 바다 쓸쓸하게 우울증 ―― 92
길은 멀어도 마음만은 ―― 93
검은 상처의 블루스 ―― 94
이 서글픈 중년中年 ―― 95
추억 ―― 96
잘 가라, 내 청춘 ―― 98
그때 그 명동 ―― 100
푸른 꿈이여 지금 어디에 ―― 101
내가 쓸 자서전에는 ―― 102

□ 해설 : 시대의 이단아, 마광수를 위한 변명 ―― 105
□ 馬光洙 약력 ―― 126

저자소개

1951년 출생. 연세대학교 국문과 및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1977년 《현대문학》 추천으로 등단. 현재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
시집 『광마집狂馬集』 『사랑의 슬픔』 『야하디 얄라숑』 『빨가벗고 몸 하나로 뭉치자』 출간.
시선집 『귀골貴骨』 『가자, 장미여관으로』 출간.
문학이론서 『상징시학』 『심리주의 비평의 이해』 『시창작론』(오세영 공저) 『시학』 『카타르시스란 무엇인가』 『삐딱하게 보기』 『문학과 성』, 평론집 『마광수 문학론집』, 연극이론서 『연극과 놀이정신』, 장편소설 『권태』 『광마일기狂馬日記』 『즐거운 사라』 『불안』 『자궁 속으로』 『알라딘의 신기한 램프』 『광마잡담狂馬雜談』 『로라』 『유혹』, 단편소설집 『발랄한 라라』 『사랑의 학교』, 중편소설 『귀족』, 에세이집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사랑받지 못하여』 『열려라 참깨』 『비켜라 운명아, 내가 간다!』 『성애론』 『자유에의 용기』 『인간』 『자유가 너희를 진리케 하리라』 『마광쉬즘』 『나는 헤픈 여자가 좋다』 등 출간. 문화비평집 『왜 나는 순수한 민주주의에 몰두하지 못할까』 『이 시대는 개인주의자를 요구한다』 『모든 사랑에 불륜은 없다』 『사라를 위한 변명』 출간. 『즐거운 사라』 일본어판이 아사히 TV 출판부에서 번역·출간됨.
동숭동 나우 갤러리에서 을 시작으로 , , , 미국 뉴욕 Maxim 화랑 등을 가짐.

도서소개

마광수 신작 시집

오랫동안 성을 주제로 한 글쓰기에 몰입해온 마광수 교수의 신작 시집『일평생 연애주의』. 작가의 핵심사상인 에로티시즘적 사고를 바탕으로 성을 비롯한 인간의 욕망을 억압하는 도덕적 가치관의 이면을 예리하게 통찰하고 사회적 통념의 모순을 들추어낸다. 총 4부로 구성된 이번 시집은 기존의 작품에서 보여 주었던 도발적이고 대담한 성적 담론뿐 아니라 삶이 주는 허망함, 쓸쓸함을 쉽고 명쾌한 언어로 그려내고 있다.
☞ 이 책에 담긴 시 한편!
<세월>

당신은
어떤 남자 품 속에 있고

나는
어떤 여자 품 속에 있고

당신은 나를 생각하며
어떤 남자와 키스를 하고

나는 당신을 생각하며
어떤 여자와 키스를 하고

불쌍한 나
불쌍한 당신!

사랑은 여전히
우리 두 사람 마음 속에 있는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