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주어록 석의 세트

조주어록 석의 세트

  • 장산 (번역)
  • |
  • 조계종출판사
  • |
  • 2016-08-17 출간
  • |
  • 880페이지
  • |
  • 163 X 228 X 67 mm /1795g
  • |
  • ISBN 9791155800775
★★★★★ 평점(10/10) | 리뷰(2)
판매가

50,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뜰 앞의 잣나무”,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
누구나 들어 보았지만 모두가 알아채진 못한
조주 선사의 말씀에 담긴 뜻

조주 종심(趙州從?, 778~897) 선사의 이름을 들으면 사람들이 흔히 떠올리는 말이 있다. 바로 “뜰 앞의 잣나무(庭前栢樹子)”, 그리고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狗子無佛性)”라는 공안(公案)이다.
조주 선사가 학인(學人)의 물음에 답해 준 이 말들은 조주 선사 당시부터 400여 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뒤 무문 혜개가 선종의 공안 48개를 선별하여 편찬한 『무문관』에 실릴 정도로 많은 사람이 참구했던 말이기도 하고, 1,200여 년이 지난 현재도 익숙한 말이다.
그러나 익숙하다고 해서 그 속에 담긴 뜻까지 잘 아는 것은 아니다. ‘무엇이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입니까?’라는 물음에 대한 답, ‘뜰 앞의 잣나무’라는 말은 평범한 사람의 생각으로는 도대체 무슨 뜻으로 한 말인지 이해할 수 없다.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는 말은 또 어떤가. 부처님께서는 일체중생에게 불성이 있다고 하셨는데, 어째서 당대의 고승께서는 이렇게 말했는지 의아한 생각이 든다.
이러한 불가해(不可解)를 막고, 그 숨은 뜻에 좀 더 다가가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조주 스님이 그렇게 말한 의도와 뜻을 이해할 수 있도록 길잡이가 되어 줄 사람, 혹은 책이다.

21세기 처음 만나는 『조주어록』의 원문, 현토, 석의

『조주어록 석의』는 『고존숙어록』에 실려 있는 『조주어록』을 저본으로 삼아서 원문에 현토를 달아 번역하고, 석의(釋義)를 단 것이다.
그동안 『조주어록』에 대한 번역서, 그리고 해설서가 단 한 권도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 책이 눈에 띄는 것은 원문과 번역, 그리고 해설까지 그동안의 『조주어록』 관련 도서에 있었던 요소를 모두 갖춘 데다, 이 책만의 특별함이 있기 때문이다.
그 특별함이란 원전 읽기를 원하는 독자를 배려하여 현토를 달았다는 점, 그리고 저자 장산 스님의 선불교와 『벽암록』, 『경덕전등록』, 『임제록』 등의 선어록, 경론(經論)에 대한 폭넓은 지식이 본문에 녹아 있다는 점이다.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평상심이 도다.’ 『경덕전등록』 권10 ‘남전 선사 문하의 종심 스님’ 편에 스님이 ‘평상심이 도이니라.’라고 한 말씀이 나온다. 원래는 마조 도일 스님이 사용한 말이지만 후세에 조주가 많이 사용함으로써 널리 알려졌다. 만약 분별심이 일어나 평상심을 잃게 되면 평정을 잃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평정을 잃지 않는 마음이 곧 진리일 것이다. 마음이 일체 모든 길을 열어 가는 것이라는 뜻과 마음 밖에 다른 진리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상권, 39쪽)

백타래야미(白駝來也未), ‘흰 낙타가 왔는가?’ 조주의 첫 마디에 이 학승은 ‘왔습니다.’ 하였다. (……) 조주는 ‘가서 풀이나 뜯겨라.’ 한다. ‘흰 낙타가 왔는가?’ 하고 물은 것은 『법화경』에 나오는 백우거(白牛車), 양거(羊車), 녹거(鹿車)에서 전거한 것이다. 『법화경』에서는 삼승 가운데 일승(一乘)을 백우거에 비유하였다. 조주는 적어도 일승법을 얻어야 비로소 비로자나불의 스승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이 학승이 자신 있게 ‘흰 낙타가 왔다.’고 응수하는 것을 보면 작가의 경지에 왔음을 스스로 드러내 보였다고 하겠다.
(하권, 103쪽)

이처럼 ‘석의’나 ‘쉬어가기’, ‘한마디’ 등에서 인용되는 경론이나 선불교 서적의 내용은 『조주어록』 속 구절의 유래나 뜻을 보충해 주어 굳이 다른 책을 살피지 않아도 될 정도이다.
또 하나 이 책의 특이한 점은 대괄호([ ]) 속 장산 스님의 말이다. 언구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을 덧붙인 대괄호 속 내용은 딱딱하기만 할 것 같은 이 책을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이럴 땐 학인이 이렇게 대답했어야 한다고 탄식을 하거나 조주 선사의 대단함을 찬탄하기도 하는 등 본문과 함께 읽다 보면 장산 스님과 함께 『조주어록』을 읽고 있는 듯 친근함이 들기도 하고, 조주 선사와 학인이 대화하고 있는 자리에 함께 있는 듯 느껴지기도 한다.

30여 년 만에 되살아난 『조주어록』을 이해하기 위한 길잡이

이 책은 세상에 나온 인연도 눈에 띈다.
어느 날 장산 스님은 다락방에서 노트 한 권을 발견하였다. 30여 년 전 『조주어록』에 석의를 달아 두었던 노트였다. 뽀얗게 먼지를 뒤집어 쓴 그 노트를 반가운 마음으로 살펴보던 스님은 이 내용을 다시 정리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래서 『조주어록』의 원문을 그대로 옮겨 현토를 달고, 글자 하나하나 허투루 넘기지 않고 번역하였다. 이때 원문이 문답 형식을 갖추고 있음을 고려하여 번역 역시 대화체로 풀었다. 그리고 석의를 붙인 뒤, 내용을 더 드러나게 하기 위한 조사 언구나 전거를 든 일구(一句)인 ‘한마디’, 그리고 ‘석의’에서 언급되었던 선어록이나 경전, 논서 등의 내용과 자료를 소개한 ‘쉬어가기’ 등 단순한 해설서라고 하기에는 여러 요소를 담았다.
이렇게 오래전 인연으로 시작되어 많은 노력과 정성이 들어갔기에 이 책은 조주 선사의 말 속에 담긴 의도와 뜻을 이해하기 위한 완벽한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목차

조주어록 석의 上

책을 여는 말
조주 종심 선사의 생애

趙州眞際禪師語錄 卷上

趙州眞際禪師語錄幷行狀

1. 무엇이 도입니까
2. 고양이 목을 베다
3. 뜰 앞의 잣나무
4. 조주의 주인공
5. 조주의 현중현
6. 조주 상당 법어
7. 진정한 수행자를 찾다
8. 손바닥 안의 구슬
9. 용녀가 부처님께 구슬을 바치다


10. 조주의 수행 지침
11. 가섭이 골수를 얻다
12. 지극한 도는 가리는 것을 꺼린다
13. 생사 가운데 있다
14. 대도는 목전에 있다
15. 삼생의 원수
16. 일구
17.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
18. 마음이 미치지 못하는 곳
19. 조주의 가풍
20. 평상심은 무엇인가
21. 부처도, 물건도, 중생도 아니다
22. 불조의 대의
23. 무엇이 출가인가
24. 남전의 화살 한 개
25. 조계의 길

조주어록 석의 下

책을 여는 말

趙州眞際禪師語錄 卷下

26. 금부처는 용광로를 지나지 못한다
27.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
28. 대인의 모습
29. 무엇이 깨달음인가
30. 진리에 이르는 한 길
31. 급박하고 절박한 곳
32. 비구의 수행
33. 무변신보살
34. 불생불멸
35. 조주의 돌다리
36. 큰길은 장안으로 통한다
37. 시비가 있으면 본 마음을 잃는다
38. 칠불의 스승


39. 근본으로 돌아가면 뜻을 얻는다
40. 만법의 근원
41. 주머니 속 보배
42. 너희들은 남쪽으로 가라
43. 도는 생멸에 속하지 않는다
44. 부처의 꽃
45. 조주의 관문
46. 불법은 남쪽에 있다
47. 끽다거
48. 일척안
49. 어디로 피해야 합니까
50. 갈래머리 동자
51. 조주의 진영
52. 노파가 조주의 죽순을 훔치다
53. 조주의 게송
54. 조주의 시가

저자소개

저자 장산(長山)은 1963년 해인사로 출가하였다. 시절 인연이 닿지 않아 송계암, 쌍계사, 범어사, 불국사, 통도사 등을 찾아갔으나 주처를 찾지 못하고 있다가 해인사에 주석하시던 고암 스님을 참방하니 스님께서 허락하시어 낙발하였다. 그 후로는 스님의 곁을 떠나지 않았고 가르쳐 준 대로 오직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 화두에만 매달릴 뿐, 다른 것은 한 번도 생각을 하여 본 적이 없었다. 동화사, 묘관음사 등에서 수선안거를 하고 토굴을 지어 놓고 3년 결사를 하기도 하였다.
1969년 해인강원을 졸업하고, 1976년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승가학과를 졸업하였다. 1985년에는 호주 시드니에 불광사를 설립하였고, 기장에 대자원, 부산에 세존사를 창건하였다. 2013년에는 부산에서 설악산까지 53일간 왕복 1,300km 걷기 수행을 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초심호계위원, 법규위원, 교육원 역경위원장, 동명불원 주지, 용성 조사께서 창건하신 대각사 주지와 재단법인 대각회 상임이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화엄경 100일 법문』, 『걷는 곳마다 마음꽃이 피었네』, 고암 대종사 영첩(影帖) 『자비(慈悲) 멀리서 가까이에서』, 『고암 법어록』 등을 편찬 출간하였다. 이 외에도 다수의 역서가 있다.

도서소개

『조주어록 석의 세트』는 『고존숙어록』에 실려 있는 『조주어록』을 저본으로 삼아서 원문에 현토를 달아 번역하고, 석의(釋義)를 단 것이다. 『조주어록』에 대한 번역서, 그리고 해설서가 단 한 권도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 책이 눈에 띄는 것은 원문과 번역, 그리고 해설까지 그동안의 『조주어록』 관련 도서에 있었던 요소를 모두 갖춘 데다, 이 책만의 특별함이 있기 때문이다. 그 특별함이란 원전 읽기를 원하는 독자를 배려하여 현토를 달았다는 점, 그리고 저자 장산 스님의 선불교와 『벽암록』, 『경덕전등록』, 『임제록』 등의 선어록, 경론(經論)에 대한 폭넓은 지식이 본문에 녹아 있다는 점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